선고일자: 2021.06.10

민사판례

아파트 하자 보수 소송, 청구 금액 확장과 소멸시효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 하자 보수 소송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소송 과정에서 청구 금액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소멸시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사례는 재건축조합이 건설사를 상대로 아파트 하자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건입니다. 처음에는 손해배상액의 일부만 청구하면서, 소송 진행 중 감정 결과 등을 바탕으로 청구 금액을 확장할 계획이었죠. 핵심 쟁점은 소송 중 청구 금액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경우, 소멸시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입니다.

소송을 통해 시효를 중단시키려면?

일반적으로 소송을 제기하면 해당 채권에 대한 소멸시효가 중단됩니다(민법 제168조 제1호). 하지만 이번 사례처럼 처음부터 채권의 일부만 청구하는 경우, 시효 중단의 효력은 청구한 부분에만 미칩니다.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시효가 계속 진행되는 것이죠.

만약 소송 진행 중 청구 금액을 확장한다면 어떨까요? 소장에 "추후 금액을 확장할 수 있다"는 의사를 명시하고 실제로 확장했다면, 소 제기 시점부터 전체 채권에 대해 시효 중단 효력이 발생합니다.

문제는 청구 금액을 축소하는 경우입니다.

이번 사례에서 조합은 처음에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예정이었지만, 소송 중 부가가치세 부분을 청구 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제외했습니다. 결국 법원은 부가가치세 부분에 대해서는 소 제기 시점부터 시효 중단 효력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마치 애초에 소송을 제기하지 않은 것과 같은 결과가 된 것이죠.

핵심 정리:

  • 일부 청구 후 확장: 소장에 확장 의사를 밝히고 실제로 확장하면, 소 제기 시점부터 전체 채권의 시효 중단.
  • 일부 청구 후 축소: 축소된 부분은 소 제기로 인한 시효 중단 효력 없음. 마치 소송을 제기하지 않은 것과 같은 상황.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168조 제1호 (재판상 청구로 인한 시효중단)
  • 민법 제170조 (시효중단의 효력)
  • 대법원 1975. 2. 25. 선고 74다1557 판결
  • 대법원 1992. 4. 10. 선고 91다43695 판결
  • 대법원 2020. 2. 6. 선고 2019다223723 판결

이처럼 소송 중 청구 금액 변경은 소멸시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리와 판례를 꼼꼼히 확인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하자보수, 손해배상 청구는 언제까지 가능할까?

건설공사 하자로 인한 보수 비용 청구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소멸시효가 적용되어 청구할 수 없게 된다. 단순히 하자 발생 후 일정 기간(제척기간) 안에만 청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 채권처럼 소멸시효도 적용된다는 판결.

#건설하자#보수#손해배상#소멸시효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일부만 청구하면 나머지는 어떻게 될까? 소멸시효 중단에 관한 이야기

돈을 받아야 하는 채권자가 소송을 통해 일부 금액만 청구했을 때, 나머지 금액에 대한 소멸시효도 중단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례입니다. 소송에서 청구 금액을 확장할 가능성을 언급했더라도 실제로 확장하지 않았다면, 나머지 금액에 대한 소멸시효는 중단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소송 진행 중에는 '최고'의 효력이 있어 소송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 시효 중단이 가능합니다.

#소멸시효#일부청구#소송#청구확장

상담사례

손해배상 소송, 처음엔 일부만 청구해도 시효 걱정 없을까?

손해배상 소송에서 처음에 일부만 청구해도, 소장에 전체 손해 내용을 명확히 기재하면 전체 손해에 대한 시효가 중단된다.

#손해배상#일부청구#시효중단#소장

민사판례

아파트 하자보수, 소멸시효, 그리고 채무이행 최고에 대한 법원의 판단

아파트 하자보수 청구는 법에 정해진 하자보수기간이 지나도 할 수 있고, 보증보험회사에 보험금을 청구했는데 회사가 추가 자료를 요구하거나 소송 결과를 기다리겠다고 하면 소멸시효가 중단된다. 또한, 건설사가 소송을 걸었을 때 입주자가 소송에서 적극적으로 하자보수를 주장하면 이것도 소멸시효 중단 사유가 된다.

#아파트 하자보수#소멸시효 중단#보증보험#재판상 청구

민사판례

아파트 하자보수보증금, 알쏭달쏭 소멸시효와 보증범위 완벽 정리!

아파트 하자보수보증금 관련 소송에서 법 개정 전후 발생한 하자에 대해 각각 다른 소멸시효를 적용해야 하고, 여러 보증계약이 존재할 경우 보증 범위가 중복될 수 있다는 판결.

#하자보수보증금#소멸시효#보증범위#법 개정

민사판례

아파트 하자보수 소송, 꼭 알아야 할 4가지!

아파트 하자보수 소송에서 소멸시효는 하자 발생 시점부터 각각 따로 계산되며, 하자보수보증서의 보증범위는 법령에 정해진 하자보수책임기간 내에 발생한 하자로 제한된다. 또한, 소송 중 청구 내용이 바뀌면 새로운 청구에 대해서만 판단해야 한다.

#아파트 하자보수#소멸시효#보증책임#하자 발생 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