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야간 옥외집회 참가로 처벌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10년 이전에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이하 '집시법')에 따라 야간 옥외집회가 전면 금지되었고, 집회 주최자뿐만 아니라 참가자도 처벌 대상이었답니다. 하지만 이 법 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상황이 바뀌었는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발단: 피고인은 야간 옥외집회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집시법 위반과 일반교통방해죄로 기소되었습니다. 원심은 유죄를 선고했지만,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핵심 쟁점:
대법원의 판단:
헌법불합치 결정, 참가자에게도 적용: 헌법재판소는 집시법상 야간 옥외집회 금지 조항(제10조 '옥외집회' 부분 및 제23조 제1호 중 '제10조 본문의 옥외집회' 부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 결정은 주최자 처벌 조항(제23조 제1호)에 대한 것이었지만, 대법원은 야간 옥외집회 자체를 금지하는 조항에 대한 결정이므로, 참가자 처벌 조항(제23조 제3호)에도 효력이 미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야간 옥외집회 참가자도 처벌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집시법 위반과 교통방해는 상상적 경합: 피고인은 야간 옥외집회 참가로 교통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일반교통방해죄로도 기소되었는데요, 원심은 집시법 위반죄와 일반교통방해죄가 실체적 경합 관계에 있다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집회 및 시위와 그로 인한 교통방해는 하나의 행위로 평가되어야 한다며, 상상적 경합 관계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두 죄를 따로 처벌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이 판결은 야간 옥외집회에 대한 법률 해석에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표현의 자유와 공공의 안녕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맞춰야 할지, 앞으로의 논의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야간 옥외집회와 시위를 금지하는 법률 조항에 대해 위헌 또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고, 이에 따라 야간 옥외집회·시위 참가자는 무죄라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야간 옥외집회를 전면 금지하는 법률 조항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고, 이 결정은 집회 참가자뿐 아니라 주최자에게도 적용된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야간 옥외집회를 금지하는 법 조항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고, 이에 따라 야간 옥외집회 금지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던 사람들의 재판 결과가 뒤집혔습니다. 이 위헌 결정은 집회 주최자와 참가자 모두에게 적용됩니다.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야간 옥외집회를 금지하는 법률 조항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린 후, 이에 따라 대법원이 관련 사건에서 유죄 판결을 파기하고 환송한 사례입니다. 즉, 야간에 옥외집회를 했다고 처벌받은 사람에 대해, 위헌 결정 이후에는 처벌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야간 옥외집회를 금지하는 법률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고, 이후 법 개정이 이뤄지지 않자 대법원은 해당 법률 조항이 소급 적용되어 효력을 잃었다고 판단, 야간 옥외집회를 주최한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다만, 대법관 일부는 효력 상실 시점에 대한 다른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야간시위 금지를 위헌으로 결정함에 따라, 야간시위 주최자에 대한 유죄 판결이 파기되었고, 시위 진행 중 신고된 방법에서 어느 정도 변경이 가능한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