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2.09.24

민사판례

여러 사람이 사고를 냈을 때, 책임은 어떻게 나눌까요?

교통사고처럼 여러 사람의 잘못으로 사고가 발생하면 누구에게 얼마만큼 책임을 물어야 할까요? 오늘은 여러 사람이 함께 불법행위를 저질렀을 때, 그들 사이의 책임 분담과 구상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동불법행위와 연대책임

여러 사람이 함께 불법행위를 저지른 경우, 이를 '공동불법행위'라고 합니다. 피해자 입장에서는 누구에게든 전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데, 이를 '연대책임'이라고 합니다. (민법 제760조 제1항) 쉽게 말해, 여러 명의 가해자 중 아무에게나 전액 배상을 요구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피해자는 여러 사람에게 번거롭게 나눠서 청구하지 않아도 됩니다.

가해자들 사이의 책임 분담: 부담 부분

그렇다면 가해자들끼리는 어떻게 책임을 나눌까요? 피해자에게는 연대책임을 지지만, 가해자들 내부적으로는 각자의 잘못 정도에 따라 책임 비율, 즉 '부담 부분'이 정해집니다. 이 부담 부분은 주로 '과실 비율'을 통해 결정됩니다.

손해배상 후, 다른 가해자에게 청구하는 '구상권'

만약 한 가해자가 자신의 부담 부분보다 더 많은 금액을 피해자에게 배상했다면, 나머지 가해자들에게 그 초과분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구상권'이라고 합니다. (민법 제425조 제1항)

구상권 행사의 범위: 꼼꼼하게 따져봐야 할 부분들

구상권을 행사할 때에는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전체 가해자의 부담 비율: 구상권은 단순히 두 가해자 사이의 상대적인 비율만으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가해자의 부담 비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 B, C 세 사람이 사고를 냈고, 그들의 과실 비율이 각각 2:3:5라고 가정해봅시다. A가 피해자에게 전액 배상했다면, B에게는 B의 부담 부분인 3/10만큼, C에게는 C의 부담 부분인 5/10만큼 구상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A와 B 사이의 비율인 2:3만 고려하면 안됩니다.

  2. 피해자별 구상 관계: 여러 명의 피해자가 있고, 각 피해자에 대한 가해자들의 책임 비율이 다르다면, 피해자별로 구상 관계를 따로 계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A, B, C의 사고로 피해자 X와 Y가 발생했는데, X에 대한 과실 비율은 2:3:5, Y에 대한 과실 비율은 1:4:5라고 가정해봅시다. A가 X와 Y에게 모두 전액 배상했다면, X에 대한 구상은 위와 같이 B에게 3/10, C에게 5/10을 청구하고, Y에 대한 구상은 B에게 4/10, C에게 5/10을 청구해야 합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은 여러 판례를 통해 이러한 구상권 행사 범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법원 1999. 2. 26. 선고 98다52469 판결, 2000. 8. 22. 선고 2000다29028 판결, 2001. 1. 19. 선고 2000다33607 판결 등). 특히 위에서 설명한 전체 가해자의 부담 비율 및 피해자별 구상 관계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결론

공동불법행위 발생 시, 가해자들 사이의 정확한 책임 분담과 구상권 행사는 복잡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 법률과 판례를 잘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여러 사람이 함께 잘못했을 때, 배상 책임은 어떻게 될까요?

여러 사람이 함께 불법행위를 저질러 피해가 발생했을 때, 피해자에게 배상한 사람이 다른 가해자에게 배상금을 나눠 부담하도록 청구할 수 있는 권리(구상권)를 행사하려면, 자신이 부담해야 할 몫 이상을 배상했음을 입증해야 한다. 또한 피해자가 일부 가해자를 용서하더라도 다른 가해자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공동불법행위#구상권#연대책임#부담부분

민사판례

억울하게 사고를 당했는데, 나도 책임이 있다고? 공동불법행위와 구상권에 대해 알아보자

교통사고로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에서,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가해자 중 한 명인 원고가 다른 가해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한 경우, 다른 가해자가 이미 사망자 유족에게 지급한 손해배상금 중 원고의 부담 부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공제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부담 부분을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피해자의 과실 비율과 가해자로서의 과실 비율은 다르게 판단해야 하며, 구상권 행사를 위해서는 가해자로서의 과실 비율을 정확히 산정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공동불법행위#구상권#과실상계#피해자과실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잘못했을 때, 비용 부담은 어떻게 될까요?

여러 사람이 불법행위로 함께 손해를 입힌 경우, 피해자에게 배상한 사람은 다른 가해자에게 자기 부담 비율만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① 여러 가해자 중 한 명이 자신의 부담 비율 이상을 배상했을 때 다른 가해자에게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는지, ② 소송 비용은 어디까지 돌려받을 수 있는지를 다룹니다.

#교통사고#공동불법행위#구상권#과실비율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잘못했을 때, 배상 책임은 어떻게 나눠질까?

여러 명이 함께 불법행위를 저지르고, 그중 한 명이 피해자에게 손해배상금을 전액 지급한 경우, 다른 가해자들에게 자신이 부담해야 할 부분을 넘어 지급한 금액에 대해서는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돌려받을 금액에는 배상금을 완납한 날부터의 이자도 포함됩니다.

#공동불법행위#분할채무#구상권#이자

민사판례

교통사고, 여러 명이 잘못했을 때 배상은 어떻게 받을까?

교통사고처럼 여러 사람의 잘못으로 피해가 발생한 경우, 가해자들을 각각 따로따로 고소하면 손해배상액이 달라질 수 있다.

#공동불법행위#손해배상#과실비율#별소

민사판례

여러 사람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 내 과실은 어떻게 따지나요?

여러 사람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 그들이 공동불법행위자가 아닌 부진정연대채무자인 경우, 피해자의 과실을 모든 채무자에게 똑같이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 채무자별로 따로따로 적용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손해배상#부진정연대채무#과실상계#공동불법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