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11.27

민사판례

염전 근로자의 휴일근로수당, 월차휴가수당, 통상임금, 퇴직금 관련 판결 분석

안녕하세요. 오늘은 염전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권리와 관련된 중요한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판결은 휴일근로수당, 월차휴가수당, 통상임금, 그리고 퇴직금 계산 방식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소 복잡한 내용이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휴일근로수당: 받을 수 있을까?

염전 회사의 취업규칙이 현업 근로자에게 휴일근무수당 가산분(휴일근무 시 통상임금의 150%) 지급을 제외하고 있더라도, 다른 조항에서 유급휴일을 인정하고 있다면, 현업 근로자도 통상임금 범위 내에서 휴일근로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즉, 가산분은 못 받더라도 기본적인 휴일근로수당은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민법 제105조, 근로기준법 제46조)

하지만, 회사가 시간외, 야간, 휴일근무수당을 매월 고정액으로 지급하는 경우, 이 금액에 이미 휴일근로수당이 포함되어 있다고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별도로 휴일근로수당을 추가로 청구할 수는 없습니다. 단, 이러한 고정액 지급 방식이 근로자에게 불리하지 않아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22조)

2. 월차휴가수당: 수산업 종사자도 받을 수 있나?

수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근로기준법에서 월차 유급휴가를 보장받지 못합니다. (근로기준법 제49조 제2호) 그러나 회사 취업규칙에 월차휴가수당 지급 규정이 있다면, 수산업 종사자라도 해당 규정에 따라 월차휴가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3. 통상임금: 무엇이 포함되고 무엇이 포함되지 않을까?

통상임금이란 각종 수당 계산의 기초가 되는 임금입니다. (근로기준법 제19조 제2항,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1조 제1항)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기본급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고정액으로 지급되는 '근무수당'이나, 회사 실적과 근무 성적에 따라 지급되는 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대법원 1978.10.10. 선고 78다1372 판결, 대법원 1990.2.27. 선고 89다카2292 판결, 대법원 1990.11.9. 선고 90다카6948 판결)

4. 퇴직금: 형식상 퇴직과 퇴직금 지급률 변경의 영향

근로자가 형식적으로 퇴직 처리되었다가 바로 재입사한 경우, 실제 퇴직일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28조, 근로기준법 제19조 제1항, 대법원 1988.4.25. 선고 86다카1124 판결 등)

또한, 회사가 퇴직금 지급률을 불리하게 변경하더라도 근로자 동의가 있다면 변경된 규칙을 적용할 수 있지만, 변경 전 기간에 대해서는 이전 규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즉, 변경 전후 기간에 대해 각각 다른 지급률을 적용하여 퇴직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95조)

이번 판결은 염전 근로자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의 근로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알고 보호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잊지 마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퇴직금과 월차휴가수당, 알고 받자!

수산업 회사도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월차휴가수당 지급 규정이 있으면 근로자에게 수당을 지급해야 하며, 형식적인 퇴직 처리 후 계속 근무했다면 실제 퇴직 시점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계산해야 한다는 판결.

#수산업#월차휴가수당#퇴직금#취업규칙

민사판례

통상임금, 넌 누구니? 월급에 유급휴일 수당이 포함될까?

이 판례는 통상임금에 어떤 수당들이 포함되는지, 그리고 주 44시간제 하에서 시간급 통상임금을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특히 유급휴일 수당과 주 44시간제 도입에 따른 토요일 오후 유급 수당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통상임금#계산방법#유급휴일수당#주44시간제

민사판례

통상임금, 시간외수당, 연월차수당, 생리휴가 등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 판례는 통상임금에 무엇이 포함되고 제외되는지, 시간외 근로수당과 연월차휴가수당은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등 임금 계산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가족수당, 학비보조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으며, 유급휴일 근무시간은 시간외 근로에 포함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또한, 연월차휴가를 사용하지 않고 퇴직한 경우에도 수당을 받을 수 있지만, 연월차휴가수당에는 시간외 근로 가산임금이 붙지 않습니다.

#통상임금#시간외근로#연월차휴가#수당계산

민사판례

연차수당, 주휴수당, 통상임금 계산: 알아두면 돈 되는 노동법!

이 판례는 근로시간 계산, 연차수당 지급 의무, 연차수당에 대한 가산임금 지급 여부, 그리고 교대근무자의 주휴수당 지급 의무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서울대병원#연차수당#주휴수당#근로시간

민사판례

퇴직금 계산, 뭘 포함해야 할까? 휴일근로수당, 가족수당, 그리고 연차수당

퇴직금 계산 시 휴일근로수당과 가족수당은 포함되지만, 사용하지 않은 연차휴가에 대한 수당은 퇴직 전 3개월 기간에 해당하는 부분만 포함된다.

#퇴직금#휴일근로수당#가족수당#연차수당

민사판례

근로시간, 통상임금, 주휴수당, 그리고 휴일·연장근로수당에 대한 궁금증 해결!

이 판례는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구분, 통상임금 판단 기준, 주휴수당의 통상임금 기초 산정, 휴일근로와 연장근로 가산임금 중복 지급 여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휴게시간#통상임금#주휴수당#휴일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