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11.25

일반행정판례

영구적인 건축물, 그 의미는 무엇일까요?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이하 '택지법')은 택지의 투기를 막고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택지 소유에 제한을 두는 법입니다. 그런데 법에서 '택지'를 정의할 때 '영구적인 건축물'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그 해석을 두고 논란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법원은 이에 대해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는데, 오늘은 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발단:

한 공장 소유주가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처분을 받았습니다. 행정기관은 공장 부지가 '택지'에 해당한다고 보았지만, 소유주는 공장 건물이 '영구적인 건축물'이기 때문에 택지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사건은 결국 대법원까지 가게 되었습니다.

쟁점:

택지법 제2조 제1호 (나)목에서 말하는 ‘영구적인 건축물’에 무허가 건축물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쟁점이었습니다. 원심(부산고등법원)은 건축허가를 받지 않았더라도 오랫동안 사용되고 견고하게 지어진 건물이라면 ‘영구적인 건축물’로 볼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을 뒤집고, ‘영구적인 건축물’은 건축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허가받고 준공검사까지 마친 건축물만을 의미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아무리 오랫동안 사용되고 견고한 건물이라도 허가나 준공검사를 받지 않았다면 '영구적인 건축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택지소유 제한을 회피하기 위한 편법을 막기 위해 법을 엄격하게 해석한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2조 제1호 (나)목: "지적법 제5조의 규정에 의한 지목이 대인 토지 중 영구적인 건축물이 건축되어 있지 아니한 토지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토지"

  • 구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시행령 (1993.5.10. 대통령령 제1388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3조

  • 대법원 1994.5.13. 선고 93누20320 판결

핵심 정리:

'영구적인 건축물'이란 단순히 오래되고 튼튼한 건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건축된 건물을 뜻합니다. 이 판례는 택지법상 '영구적인 건축물'의 의미를 명확히 함으로써 법 적용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택지소유상한제에서 '영구적인 건축물'이란 무엇일까요?

건축법 등 관련 법령에 따른 허가나 신고, 준공검사를 받지 않은 무허가 건물은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에서 규정하는 '영구적인 건축물'로 인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무허가 건물이 지어진 땅은 택지소유상한법의 적용 대상인 '택지'에 해당한다.

#무허가 건물#택지소유상한법#영구적인 건축물#부담금

일반행정판례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 영구 건축물과 토지 범위는?

택지초과소유부담금을 계산할 때는 **합법적으로 지어진 건물의 바닥면적만** 고려해야 합니다. 불법 건축물이나 마당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택지초과소유부담금#적법 건축물#바닥면적

일반행정판례

택지소유상한제, 불법 용도변경된 주택 부지에도 적용될까?

건축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허가·신고 없이 지어졌거나 준공검사를 받지 않은 건물은 택지소유상한제에서 제외되는 '영구적 건축물'로 볼 수 없다. 또한, 주거용 건물이 불법으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더라도 택지로 간주되어 택지소유상한제 적용 대상이 된다.

#택지소유상한제#불법 용도 변경#영구적 건축물#미준공 건축물

일반행정판례

무허가 주택과 택지소유상한에 대한 법률 해석

무허가 주택이 있는 땅은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에서 정한 '주택이 건축되어 있는 택지'로 인정되지 않아 택지 초과 소유에 대한 부담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무허가주택#택지소유상한#부담금#감면

일반행정판례

불법 건축물의 용도변경과 택지초과소유부담금

허가 없이 지은 불법 건축물은 나중에 용도 변경을 하더라도 '영구적인 건축물'로 인정되지 않아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 대상이 된다.

#불법건축물#용도변경#택지초과소유부담금#영구적인 건축물

일반행정판례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 알쏭달쏭 택지 개념 완벽 정리!

등기부상 지목이 '대'인 토지는 실제 용도와 무관하게 택지소유상한법의 적용을 받으며, 건축물이 있더라도 부속토지를 제외한 나머지 땅은 택지로 간주됩니다. 법인 소유 토지의 부속토지 범위를 개인보다 작게 계산하는 시행령 규정은 합헌입니다. 또한, 불법 건축물의 부속토지는 택지로 봅니다.

#택지소유상한법#지목 '대'#부속토지#불법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