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예비군 훈련, 제대로 알고 참여하세요! 위반 시 처벌 안내

안녕하세요! 병역의 의무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중요한 책임 중 하나입니다. 그중 예비군 훈련은 전시 상황에 대비하여 국가 안보를 굳건히 하는 중요한 훈련입니다. 하지만 예비군 훈련 관련 규정을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 소홀히 여겨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오늘은 예비군 훈련 관련 위반 시 제재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소집통지서 수령 및 주소지 신고 관련

  • 소집통지서 수령 거부/전달 태만: 소집통지서를 받거나 전달해야 할 의무가 있는데 정당한 이유 없이 거부하거나 전달하지 않으면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병역법 제85조). 예비군 본인이 소집통지서 수령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더 무거운 처벌인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비군법 제15조제10항).

  • 거주지 이동 미신고: 이사 등으로 거주지를 옮긴 동원훈련 대상자는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정당한 사유 없이 신고하지 않거나 거짓 신고를 하면 200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구류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병역법 제69조제1항 및 제84조제2항). 소집통지서를 받지 못하게 하려고 주민등록 신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신고하여 주민등록이 말소되거나 거주불명 등록이 되게 한 경우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라는 훨씬 무거운 처벌을 받습니다 (예비군법 제15조제2항).

2. 훈련 참석 및 훈련 태도 관련

  • 입영 불응/점검 불참: 소집통지서를 받고도 정당한 이유 없이 입영하지 않거나 점검에 참석하지 않으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에 처해집니다 (병역법 제90조제1항제1호).

  • 대리 입영/대리 훈련: 친구 대신 훈련을 받거나 돈을 받고 대신 훈련을 받는 행위는 엄격히 금지됩니다. 대리 입영은 2년 이하의 징역 (병역법 제90조제2항제1호), 예비군 대리 훈련은 1년 이하의 징역, 1천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예비군법 제15조제9항제1호).

  • 고의 훈련 보류/연기: 훈련을 보류하거나 연기받기 위해 거짓 사유를 만들거나 고의로 사유를 발생시키는 경우, 3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예비군법 제15조제11항).

  • 훈련 보류사유 해소 미신고: 훈련 보류 사유가 없어졌는데도 신고하지 않으면 20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에 처해집니다 (예비군법 제15조제12항).

3. 훈련 중 임무수행 관련

  • 지휘관 명령 불복종: 훈련 중 지휘관의 정당한 명령에 불복종하면 1년 이하의 징역, 1천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해집니다 (예비군법 제15조제9항제2호).

  • 임무수행 명령 불이행: 예비군 임무수행에 필요한 명령을 이행하지 않으면 1년 이하의 징역, 1천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해집니다 (예비군법 제15조제9항제3호).

4. 병력동원소집 관련

  • 소집통지서 수령 거부/전달 태만: 병력동원소집 통지서 수령/전달 의무 위반 시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병역법 제85조).

  • 도망/신체손상/속임수: 동원소집을 피하려고 도망가거나 숨거나, 신체를 손상하거나 속임수를 쓰면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집니다 (병역법 제86조).

  • 입영 기피: 동원소집 통지서를 받고도 정당한 이유 없이 이틀이 지나도록 입영하지 않으면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집니다 (병역법 제88조제1항제4호).

  • 병역기피 정보 유통: 온라인 상으로 병역 기피 방법을 공유하거나 조장하는 정보를 게시·유통하는 것도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병역법 제87조의2 및 제86조제1항·제87조제1항).

예비군 훈련은 국가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관련 규정을 숙지하고 성실히 참여하여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위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 및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예비군 훈련, 딱 정리해 드립니다!

예비군 훈련은 동원(병력동원, 동미참)과 지역(기본, 작계)으로 나뉘며, 8년차까지(간부는 계급별 연령정년까지) 대상자에게 최소 7일 전 통지되고, 동미참/기본/작계 3차는 훈련일정 및 장소를 자율 선택할 수 있다.

#예비군#훈련#종류#동원

생활법률

예비군 5~6년차라면? 지역예비군훈련 완벽 정리!

예비군 5~6년차 동원미지정자는 기본훈련 8시간, 작계훈련 12시간(상/하반기 각 6시간) 등 총 160시간의 지역예비군훈련을 받아야 하며, 불참 시 최대 3회 보충 기회 후 고발되고, 직장/학교의 불이익 제공은 불법입니다.

#예비군#5~6년차#지역예비군훈련#기본훈련

생활법률

예비군 훈련, 피할 수 있을까? 연기와 보류 완벽 정리!

예비군 훈련은 '연기(일시적 미룸, 사유 발생 시 신청)' 또는 '보류(특정 직업/신분, 면제 또는 일부 면제)' 제도를 통해 미루거나 면제받을 수 있으며, 각각 대상, 사유, 신청 방법, 기간이 다르다.

#예비군#훈련#연기#보류

생활법률

예비군 동원령, 궁금한 점 다 알려드립니다!

국가비상사태 시 병력동원소집은 현역병과 동일한 복무를 수행하며, 신체검사, 귀가, 소집해제 절차가 있으며, 학업과 직장에서의 불이익은 법적으로 금지됩니다.

#병력동원소집#입영#신체검사#귀가

생활법률

병역 의무, 잠깐 멈춤! 연기 제도 완벽 정리

대한민국 남성의 병역 의무 이행과 관련하여, 입영일 연기(소집 연기)는 학업, 국외 활동, 범죄 연루, 국위선양 등의 사유로, 입영 후 의무 이행일 연기는 질병, 가사 사정, 재난 등의 사유로 가능하며, 각각 연기 기준, 횟수, 절차가 존재한다.

#병역 의무#소집 연기#의무이행일 연기#입영 연기

생활법률

예비군 훈련 & 사고 보상: 알아두면 든든한 정보 모음!

예비군 훈련 시 훈련비, 실비, 교통비가 지급되며, 훈련 중 부상 시 치료, 휴업보상, 재해보상, 국가유공자/보훈보상대상자 등록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예비군 훈련#실비#훈련비#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