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09.04

민사판례

예상 못한 추가 손해, 배상 받을 수 있을까?

교통사고처럼 누군가의 잘못으로 다쳤을 때, 처음에는 괜찮아 보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예상치 못한 후유증이 나타나거나, 생각보다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가 있죠. 이럴 때 추가로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도 배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한 남성이 교통사고로 심한 뇌손상을 입고 식물인간 상태가 되었습니다. 당시 의료진은 그가 약 6년 2개월 정도밖에 살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했고, 가해자 측 보험사와 피해자 측은 이 예측을 바탕으로 합의를 했습니다. 그런데 기적적으로 남성은 예상 수명을 넘겨 살아남았고, 상태도 호전되어 식물인간 상태에서 벗어났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꾸준한 치료와 간병이 필요한 상황. 이렇게 예상치 못하게 더 오래 살게 되면서 발생한 추가적인 치료비와 간병비는 누가 책임져야 할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이렇게 예상치 못한 추가 손해에 대해서도 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처음 합의 당시에는 예상할 수 없었던 손해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전 합의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죠.

더 자세히 설명하면,

  1. 손해배상 청구 소멸시효: 손해배상 청구는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안에 해야 합니다 (민법 제766조 제1항). 하지만 이 사건처럼 예측할 수 없었던 후유증이나 손해 확대가 발생한 경우, 그 사실을 안 날부터 새롭게 3년의 소멸시효가 시작됩니다. 즉, 예상 수명 이후 발생한 손해에 대한 소멸시효는 예상 수명이 지난 후부터 진행되는 것이죠.

  2. 합의의 해석: 합의를 했다고 해서 모든 손해배상 청구가 끝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손해 범위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합의했고, 나중에 발생한 손해가 합의 당시 예상할 수 없었던 중대한 손해라면,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시 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처음 합의 당시, 피해자가 예상보다 오래 살 것이라고 예상하기 어려웠고, 그로 인해 발생할 추가 치료비와 간병비 역시 예상 범위 밖이었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추가 손해에 대한 배상 책임을 인정한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766조 제1항: 손해배상 청구권 소멸시효 (3년)
  • 민법 제105조, 제732조, 제750조: 불법행위 책임
  • 대법원 1992. 12. 8. 선고 92다42583 판결: 예상 못한 손해 발생 시 소멸시효 시작점
  • 대법원 1995. 2. 3. 선고 94다16359 판결: 예상 못한 손해 발생 시 소멸시효 시작점
  • 대법원 1991. 4. 9. 선고 90다16078 판결: 합의의 해석 (예상 불가능한 후발 손해)
  • 대법원 2000. 3. 23. 선고 99다63176 판결: 합의의 해석 (예상 불가능한 후발 손해)

결론:

예상치 못한 후유증이나 손해 확대로 고통받는 분들에게, 법원의 이러한 판단은 희망적인 소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손해배상과 관련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관련 법조항과 판례를 꼼꼼히 살펴보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교통사고 후 예상보다 오래 살았다면? 추가 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교통사고 피해자는 예상 수명보다 오래 살아 발생한 추가 손해에 대해 가해자에게 배상받았더라도 보험사에 별도로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교통사고#추가배상#보험사#여명기간

민사판례

식물인간 상태에서 기적적으로 회복한 교통사고 피해자, 추가 배상 받을 수 있을까?

교통사고로 식물인간 상태였던 피해자가 의식을 회복하고 예상보다 오래 생존하게 되면서 발생한 추가 손해에 대해, 이전 합의의 효력이 미치지 않아 추가 배상을 받을 수 있다는 판결.

#교통사고#식물인간#회복#추가손해배상

민사판례

예상보다 오래 살았을 때, 추가 손해배상 청구는 언제까지?

교통사고로 사지마비 판정을 받고 예상 수명(여명)이 5년 정도라고 진단받은 피해자가 예상보다 오래 살았다면, 추가로 발생하는 손해(예: 치료비, 간병비)에 대한 배상을 가해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언제부터 시작되고 언제까지일까요? 이 판례는 예상 수명이 지난 시점부터 3년 이내에 청구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교통사고#손해배상#소멸시효#여명

상담사례

식물인간 상태에서 깨어났는데… 추가 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교통사고로 식물인간 상태에서 깨어나 예상 수명보다 오래 생존하게 된 경우, 합의 당시 예측 불가능했던 늘어난 수명에 따른 생계비, 간병비 등 추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식물인간#회복#추가 배상#손해배상

민사판례

식물인간 환자, 예상보다 오래 살면 추가 배상 받을 수 있을까?

교통사고로 식물인간이 된 환자의 예상 수명이 처음 예상보다 길어져 추가적인 치료비와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 이 추가 비용은 이전 소송에서 판결한 손해배상과는 별개로 청구할 수 있다.

#식물인간#추가 손해배상#생존기간 연장#예측 불가능

상담사례

식물인간 상태, 예상보다 오래 살면 추가 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식물인간 상태 환자의 수명이 예상보다 길어져 발생한 추가 치료비, 간병비 등은, 최초 소송 시 예측 불가능했다면 추가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식물인간#추가배상#예상수명#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