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6.09.08

민사판례

옛날 임야 지도, 땅 주인 같으면 경계 확정 안 된다?!

혹시 옛날 땅문서 보면서 내 땅 어디까지지? 하고 궁금해하신 적 있으신가요? 특히 일제강점기 때 만들어진 임야 지도를 보면 경계가 애매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그런 분들을 위해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 드릴게요!

이번 사건은 일제강점기 때 만들어진 임야 지도상의 경계를 둘러싼 분쟁이었습니다. 원고는 지도상의 경계를 기준으로 자기 땅이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왜 그럴까요?

핵심은 **"사정(査定)"**에 있습니다. 사정이란 토지의 소유자와 경계를 조사해서 확정하는 행정 절차입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 당시 사정은 이웃 땅 주인이 다를 때만 경계를 확정했습니다. 같은 주인의 땅끼리는 굳이 경계를 정확히 나눌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당시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조선의 토지제도 및 지세제도 조사보고서'에도 이 내용이 나옵니다. 사정의 대상이 되는 경계는 "타인의 소유지와의 관계를 결정하는 선"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같은 주인의 땅 사이의 경계는 사정 대상이 아니었다는 거죠.

이번 사건에서도 문제가 된 임야 지도상의 경계는 사정 당시 같은 주인의 땅이었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그 경계가 사정으로 확정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비록 지도에 선이 그어져 있다 하더라도, 그 선이 법적으로 확정된 경계가 아닐 수 있다는 뜻입니다.

관련 법조항: 구 조선임야조사령(1918. 5. 1. 제령 제5호) 제1조, 제8조, 제15조, 제20조

이 판례는 옛날 지도만 믿고 땅 경계를 단정 지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일제강점기 자료라면 더욱 신중해야겠죠. 땅 관련 문제는 복잡하고 전문적인 영역이니,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옛날 지도에 이름 있다고 내 땅? 그렇게 쉽지 않아요!

일제시대 만들어진 임야원도에 누군가의 이름이 적혀있다고 해서 그 사람이 땅 주인으로 인정받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일제시대#임야원도#소유권#증거불충분

민사판례

땅의 경계, 어디까지 내 땅일까? - 임야 경계 분쟁과 등기의 함정

옛날 지적공부(땅 관련 서류)에 오류가 있었던 임야가 지적공부가 없어진 후 다시 만들어지면서 그 오류가 그대로 반영되었고, 그 후 소유권 확인 소송을 통해 등기까지 마쳤다면, 등기된 땅의 범위는 현재 지적공부에 나온 면적대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즉, 과거의 진짜 경계와 달라도 현재 지적공부가 우선한다는 의미입니다.

#임야#지적공부#복구#소유권

민사판례

땅 경계, 어디까지 내 땅일까? 지적도가 정답입니다!

오래전 토지 조사 때 정해진 경계가 그대로 남아있다면, 실제 땅 모양과 다르더라도 지적도에 그려진 경계를 따라야 한다.

#토지 경계#지적도#소유권#토지조사

민사판례

땅 경계선, 어떻게 정할까요?

땅 경계를 정할 때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지적도를 기준으로 해야 하며, 측량 없이 지적도 오류 정정이 가능한 경우 측량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경계확정 소송에서 시효취득 주장은 할 수 없다.

#지적도#경계확정#시효취득#소유권

민사판례

옛날 오솔길, 내 땅일까? 토지 경계 분쟁 이야기

옛날 토지조사 당시 도로로 지정된 땅이 지적도에는 도로로, 임야도에는 인접한 임야의 일부로 잘못 등록된 경우, 단순히 지적도에 도로로 표시되었다고 해서 국가 소유가 되는 것은 아니고, 당시 토지 소유권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따져봐야 한다는 판결. 특히 면적이 작고 임야 안에 있는 도로라면 임야에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적도#임야도#도로 중복등록#소유권

민사판례

일제강점기 토지조사, 내 땅은 어디로? 사정 받은 땅의 진짜 주인은 누구?

일제강점기 토지/임야조사령에 따라 국가가 토지 소유권을 새로 정리(사정)하면, 이전의 소유권 주장은 모두 효력을 잃습니다. 따라서 이후 사정된 토지에 대해 이중등기가 발생하더라도, 먼저 등기된 쪽의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으면 나중에 등기된 쪽이 말소되지 않습니다.

#일제강점기#토지조사령#임야조사령#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