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05.30

특허판례

욕실 배수 시스템 특허, 침해일까 아닐까?

욕실 바닥 배수와 관련된 특허 침해 소송 사례를 소개합니다. 청완(주)는 자신들의 욕실 배수 시스템 특허를 청암피앤피(주)가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핵심 쟁점은 청암피앤피(주)의 제품이 청완(주)의 특허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였습니다.

특허 침해를 판단하는 기준은 특허법 제135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대법원은 여러 판례(대법원 2009. 6. 25. 선고 2007후3806 판결, 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2후1132 판결, 대법원 2015. 5. 14. 선고 2014후2788 판결 등)를 통해 이를 구체화해 왔습니다. 이에 따르면, 확인대상발명(침해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발명)이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려면, 특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들이 확인대상발명에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청완(주)의 특허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으로, 기초 콘크리트 바닥 내부에 L자형 배관과 바닥 하수관을 설치하고, L자형 배관 위에 구멍이 뚫린 취수구를 설치하여 바닥의 물을 배출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청암피앤피(주)의 제품은 기초 콘크리트 기포콘크리트 층 내부에 여러 배관과 구멍 뚫린 연결관을 설치하여 물을 배출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대법원은 두 제품의 차이점에 주목했습니다. 비록 두 제품 모두 욕실 바닥의 물을 배출한다는 목적은 같지만, 그 원리가 다르다고 판단했습니다. 청완(주)의 특허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 반면, 청암피앤피(주)의 제품은 기포콘크리트 층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즉, 물을 배출하는 위치와 배관의 구조, 기능이 달랐던 것입니다. 따라서 청암피앤피(주)의 제품은 청완(주) 특허의 핵심 구성요소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결했습니다.

더 나아가, 대법원은 설령 구성요소에 일부 변경이 있더라도, 변경된 부분이 해당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누구나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이고, 특허발명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낸다면 특허 침해로 볼 수 있다는 원칙(균등론)을 재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이 사건에서는 배관 설치 위치와 구조의 차이가 상당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변경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결국, 청암피앤피(주)의 제품은 청완(주)의 특허를 침해하지 않는다고 최종 결론지었습니다.

이 판례는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단순히 최종 결과물만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원리와 구성요소의 실질적인 동일성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파이프 커플링 특허침해, 대법원 판결 파헤치기!

특허 침해를 판단할 때, 침해 대상 제품이 특허의 모든 구성 요소를 완전히 갖추지 않았더라도, 특허 발명과 핵심 기능과 효과가 동일하고 일반적인 기술자가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정도의 차이라면 침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균등침해)

#특허침해#균등침해#과제 해결 원리#작용효과

민사판례

특허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균등침해와 청구취지 특정

특허의 일부 구성이 다르더라도 핵심 기술사상이 같고, 그 차이가 일반적인 기술자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라면 특허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 특허침해 금지 소송에서는 사회통념상 침해 대상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만 특정하면 된다.

#특허 균등침해#판단 기준#금지청구#특정

민사판례

특허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균등침해와 그 판단 기준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똑같이 만들지 않았더라도 비슷하게 만들어 특허의 핵심 아이디어를 베꼈다면 침해로 볼 수 있는데, 이를 "균등침해"라고 합니다. 이 판례는 균등침해가 성립하기 위한 세부적인 조건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허침해#균등침해#과제해결원리#작용효과

특허판례

특허 침해? 아니, 핵심 원리가 달라요! - 수처리장치 특허 분쟁 이야기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유사한 기술이 특허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균등론'이 적용되는 범위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일부 구성요소가 비슷하다고 특허 침해가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 원리와 작용 효과까지 동일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수처리장치#특허침해#균등론#작동원리

특허판례

특허 침해 분쟁, 핵심은 '청구범위 해석'과 '확인대상 발명'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특허 청구범위는 명세서와 도면을 참고하여 해석해야 하며,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는 심판청구인이 지정한 확인대상 발명을 기준으로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특허침해소송#특허청구범위#확인대상발명#권리범위확인심판

특허판례

특허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균등론에 대한 설명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비교 대상 제품이 특허의 모든 구성 요소를 그대로 포함하지 않더라도, 변경된 부분이 특허의 핵심 원리를 해치지 않고, 전문가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변경이라면 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는 판결.

#특허침해#구성요소#치환#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