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9.06.25

특허판례

특허 침해? 아니, 핵심 원리가 달라요! - 수처리장치 특허 분쟁 이야기

오늘은 수처리장치 특허를 둘러싼 흥미로운 법정 다툼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디퓨저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특허권자가 '벤투리 인젝터 방식'을 사용하는 다른 수처리장치를 자기 특허를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한 사건인데요, 대법원은 최종적으로 특허 침해가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왜 그런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사건의 발단:

A사는 '디퓨저 방식'으로 오존과 물을 혼합하여 살균하는 수처리장치에 대한 특허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B사가 '벤투리 인젝터 방식'을 사용하는 유사한 수처리장치를 판매하자, A사는 B사의 제품이 자신의 특허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B사의 수처리장치가 A사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였습니다. 특허 침해를 판단할 때, 비슷해 보이는 기술이라도 특허의 핵심 원리와 동일한지, 같은 효과를 내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특히, 일부 구성요소가 변경된 경우에도 '균등론'에 따라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때 중요한 기준은 '과제 해결 원리의 동일성'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B사의 수처리장치가 A사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과제 해결 원리의 차이: A사의 특허는 '디퓨저 방식'을 이용하여 물과 오존을 혼합하는 것이 핵심 원리입니다. 반면, B사의 제품은 '벤투리 인젝터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두 방식은 오존과 물을 혼합하는 메커니즘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과제 해결 원리가 동일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2. 작용효과의 차이: '벤투리 인젝터 방식'은 '디퓨저 방식'보다 살균 효과가 훨씬 뛰어나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두 제품의 작용효과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대법원은 위와 같은 이유로 B사의 제품이 A사 특허의 핵심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특허 침해가 아니라고 결론지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특허법 제135조 (특허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
  • 대법원 2000. 7. 28. 선고 97후2200 판결
  • 대법원 2005. 2. 25. 선고 2004다29194 판결

결론:

이번 판례는 특허 침해를 판단할 때, 단순히 구성요소의 유사성만 볼 것이 아니라, 발명의 핵심 원리와 작용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특히, 기술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면밀한 분석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권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디젤 엔진 연료 분사 밸브 테스트 방법 사례 분석

특허받은 디젤 엔진 연료 분사 밸브 테스트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한 것이 특허권 침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사례. 비슷한 기능을 하는 다른 부품으로 대체했더라도, 핵심적인 원리가 같고 전문가라면 쉽게 대체할 수 있는 경우에는 특허권 침해로 인정된다.

#특허권 침해#연료 분사 밸브 테스트#균등론#핵심 원리

특허판례

욕실 배수 시스템 특허, 침해일까 아닐까?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비교 대상 제품이 특허 제품과 일부 다르더라도, 핵심 원리가 같고 변경된 부분이 누구나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라면 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

#특허침해#균등론#과제해결원리#작용효과

특허판례

특허 침해? 아닙니다! 중간 과정 추가는 '당연한 기술'

기존 특허와 출발물질, 반응물질, 최종 생성물이 같고, 제조 방법의 핵심적인 부분도 동일하다면, 중간 과정에 약간의 차이가 있더라도 특허 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

#특허침해#의약품#제조방법#동등성

특허판례

특허권 침해? 아니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기술?

기존에 공개된 기술만으로 쉽게 만들 수 있는 발명은 특허권 침해가 아니다.

#특허권 침해#기존 기술#쉬운 제작#의료기기

특허판례

특허 침해 분쟁에서 '균등론'이란 무엇일까요? - 사이프로플루옥사신 제조방법 특허 사례 분석

특허받은 사이프로플루옥사신 제조방법과 유사하지만 다른 반응물질을 사용하여 중간체를 거쳐 최종적으로 같은 물질을 만드는 방법이 특허권 침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유사한 반응물질을 사용하고 최종적으로 같은 물질을 만드는 경우, 중간체를 거치는 차이만으로는 특허권 침해를 벗어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사이프로플루옥사신#제조방법#특허권 침해#균등물

특허판례

특허 침해 판단, 핵심은 '기술사상'

특허 침해를 판단할 때, 특허 제품과 똑같지 않더라도 유사한 기능을 하는 제품이 특허 범위에 포함되는지(균등론)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핵심은 '과제 해결 원리'와 '작용 효과'가 동일한지, 그리고 변경된 부분이 해당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인지 여부입니다.

#특허 침해#균등론#과제 해결 원리#작용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