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지방자치'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내가 사는 지역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할 지방자치, 함께 알아볼까요?
1. 지방자치, 뭘까요?
쉽게 말해, 우리 동네 일은 우리가 스스로 해결한다는 뜻입니다! 지역 주민들이 직접 지역의 문제를 찾고, 해결 방안을 결정하고, 그에 대한 책임도 지는 시스템이죠. (한국법제연구원 법령용어검색 참조) 이를 통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2. 지방자치단체, 종류가 있나요?
네,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지방자치법 제2조제1항)
3. 지방자치단체는 무슨 일을 하나요?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주민들을 위해 다양한 일을 합니다. (지방자치법 제13조제1항·제2항)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사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4.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기관은 무엇인가요?
특히,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는 서로 견제와 균형을 통해 권력 남용을 방지하고, 주민들의 이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지방의회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업무를 감사할 수 있고 (지방자치법 제41조), 지방자치단체장은 지방의회의 의결에 대해 재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법 제107조)
지방자치는 주민들의 참여와 관심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습니다. 우리 지역의 발전을 위해, 지방자치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생활법률
주민들은 투표, 조례 제정·개폐 청구, 감사 청구, 소송, 소환 등의 방법으로 지방 정치에 참여하여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일반행정판례
구청장이 조례로 정하는 행정기구 설치에 관한 권한을 가지고, 구의회는 이를 견제할 수 있지만, 구청장이 제안한 행정기구 설치 조례안을 전혀 다른 기구 설치 조례안으로 바꿔서 의결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생활법률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사업 추진을 위해 외부 전문가/업체와 맺는 용역계약(기술, 학술, 일반)은 공개입찰을 원칙으로 하며, 투명한 예산 집행과 지역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행정판례
구의회가 조례로 동별 주민자치센터 운영위원회 위원장을 해당 지역구 구의원이 당연직으로 맡도록 정한 것은 위법하다. 지방의회는 집행기관(구청장 등)의 업무에 사전에 직접 개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생활법률
행정안전부는 공유재산 관리 기준을 마련하고 지자체를 지원·감독하며, 지자체는 실제 관리 및 처분하고, 지방의회는 이를 감시·견제하여 공유재산이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한다.
생활법률
지방자치단체 용역계약은 지자체가 필요한 사업을 위해 외부 전문가/업체와 맺는 법적 효력을 가진 계약으로, 원칙적으로 공개입찰을 통해 진행되지만 예외적으로 지명/수의계약도 가능하며, 계약서 작성은 필수지만 일정 금액 이하 등 예외 경우 생략 가능하고, 관련 법규 준수가 계약 효력의 필수 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