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우리 아이, 맞춤 교육으로 함께 성장해요! 통합교육, 개별화교육, 그리고 더 많은 지원들

아이의 성장, 부모님의 가장 큰 기쁨이자 걱정이죠? 특히 장애가 있는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은 일반적인 교육 과정 외에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실 겁니다. 오늘은 장애 아동·청소년을 위한 교육 지원 제도, 통합교육, 개별화교육, 순회교육, 그리고 영아를 위한 교육지원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통합교육: 또래와 함께 배우는 즐거움

"통합교육"이란 장애 학생들이 일반 학교에서 차별 없이 또래 친구들과 함께 배우는 교육 방식입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조제6호). 단순히 같은 공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장애 유형과 정도에 맞춰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교육받을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학교는 통합교육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1조제1항), 장애 학생을 위해 교육 과정을 조정하고, 보조 인력을 배치하고, 학습 보조 기기를 지원하고, 교사 연수를 진행하는 등 통합교육 계획을 세워 실행해야 합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1조제2항).

2. 개별화교육: 한 아이를 위한 맞춤 교육 설계

"개별화교육"은 아이의 능력을 최대한 키워주기 위해 장애 유형과 특성에 딱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조제7호).

개별화교육은 '개별화교육지원팀'이 만들어가는데요, 부모님, 특수교육 선생님, 일반 선생님, 진로·직업 담당 선생님 등이 함께 아이에게 꼭 맞는 교육 목표, 내용, 방법 등을 담은 '개별화교육계획'을 세웁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2조제1항, 제2항 및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 제2항, 제3항). 이 계획은 매 학기마다 업데이트되며, 전학이나 진학 시에는 새로운 학교로 전달되어 교육의 연속성을 보장합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2조제3항).

3. 진로 및 직업교육: 미래를 향한 꿈을 응원합니다

중학교 이상의 장애 학생들은 "진로 및 직업교육"을 통해 사회로 나아갈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조제9호). 학교는 직업 평가, 직업 교육, 취업 지원, 사후 관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3조제1항),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체계적인 지원을 보장합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3조제1항 및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17조). 또한, 진로 및 직업교육을 위한 전용 공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3조제2항 및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18조제1항).

4. 순회교육: 학교 밖에서도 멈추지 않는 배움

"순회교육"은 학교에 다니기 어려운 장애 학생들을 위해 선생님들이 직접 병원, 집, 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교육하는 서비스입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조제8호 및 제25조제1항, 제2항, 제3항). 아이의 상태와 교육과정에 맞춰 유연하게 운영되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20조제1항, 제2항), 학습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지원합니다.

5. 장애 영아 교육: 더 이른 시작, 더 큰 가능성

만 3세 미만의 장애 영아도 조기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교육을 요청하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를 거쳐 특수학교 유치원, 영아학급, 또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배치될 수 있습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18조제1항, 제2항). 모든 교육은 무상으로 제공되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3조제1항), 필요한 경우 순회교육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18조제3항 및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13조제1항, 제3항).

장애 아동·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교육 지원 제도, 잘 활용하셔서 우리 아이들이 자신의 꿈을 향해 힘차게 나아가도록 응원해주세요! 더 자세한 정보는 '장애자녀 부모 지원 종합시스템 온맘(https://nise.go.kr/onmam/front/index.do)'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우리 아이를 위한 맞춤 교육, 특수교육 A to Z!

장애 유형과 정도에 맞춘 특수교육은 국가교육위원회가 정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통합교육, 개별화교육, 순회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한다.

#특수교육#교육과정#통합교육#개별화교육

생활법률

장애 학생들을 위한 맞춤 교육, 특수교육에 대해 알아보자!

장애인 특수교육은 맞춤형/통합 운영되며, 3~17세 의무교육 대상자는 유치원~고등학교 과정, 그 이후엔 무상 전공과(진로/직업교육) 과정을 통해 교육받을 수 있고, 사립 위탁기관은 국가 지원을 받습니다.

#장애인 특수교육#특수교육기관#교육과정#국가교육위원회

생활법률

우리 아이를 위한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꼼꼼하게 알아보기!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은 가족 지원, 치료, 보조기기, 통학 지원, 기숙사, 정보 접근 등 다양한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를 법적 근거에 따라 지원받을 수 있다.

#특수교육#관련서비스#지원#가족지원

생활법률

우리 아이, 특수교육과 함께 필요한 지원도 받을 수 있을까요?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총정리)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교육뿐 아니라 상담, 가족 지원, 치료, 보조 인력, 보조공학기기, 통학, 정보 접근 등 다양한 관련 서비스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특수교육#관련서비스#지원#가족지원

생활법률

장애유아를 위한 따뜻한 배움의 터, 유치원 특수교육 A to Z

장애 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누리과정 특수교육은 놀이 중심으로 차별 없이 아이의 속도에 맞춰 유연하게 운영되며, 개별화교육계획에 따라 1:1 지원을 제공하고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아이의 성장을 돕는다.

#장애유아#특수교육#맞춤형 교육#놀이중심

생활법률

장애 학생들을 위한 맞춤 교육, 특수교육 교육과정 알아보기!

장애 학생의 교육적 필요에 맞춰 초·중·고등학교는 공통/선택 중심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장애 정도에 따라 교과 수준 조정 및 일상생활 활동 교육 포함)을 운영하며,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전공과에서 진로 및 직업교육을 제공한다.

#장애 학생#맞춤 교육#특수교육 교육과정#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