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아이들은 모두 소중하고, 저마다의 속도로 성장합니다. 특히 장애가 있는 유아들은 더욱 세심한 관심과 배려 속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꽃피울 수 있도록 지원받아야 합니다. 오늘은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장애유아 특수교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맞춤형 교육과정, 어떻게 운영될까요?
장애유아 특수교육은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아이 개개인의 특성에 맞춰 유연하게 운영됩니다.
2. 즐겁게 배우고 성장하는 교수·학습 방법
장애유아 특수교육은 아이들이 즐겁게 참여하고, 스스로 배우는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활용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2022. 12. 22.)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든 아이들이 행복하게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유치원 특수교육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생활법률
장애 유형과 정도에 맞춘 특수교육은 국가교육위원회가 정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통합교육, 개별화교육, 순회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한다.
생활법률
장애인 특수교육은 맞춤형/통합 운영되며, 3~17세 의무교육 대상자는 유치원~고등학교 과정, 그 이후엔 무상 전공과(진로/직업교육) 과정을 통해 교육받을 수 있고, 사립 위탁기관은 국가 지원을 받습니다.
생활법률
장애 학생의 교육적 필요에 맞춰 초·중·고등학교는 공통/선택 중심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장애 정도에 따라 교과 수준 조정 및 일상생활 활동 교육 포함)을 운영하며,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전공과에서 진로 및 직업교육을 제공한다.
생활법률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은 가족 지원, 치료, 보조기기, 통학 지원, 기숙사, 정보 접근 등 다양한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를 법적 근거에 따라 지원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장애 아동은 통합교육, 개별화교육, 진로 및 직업교육, 순회교육, 만 3세 미만 영아교육 등의 맞춤형 교육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생활법률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교육뿐 아니라 상담, 가족 지원, 치료, 보조 인력, 보조공학기기, 통학, 정보 접근 등 다양한 관련 서비스 지원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