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우리 아이 안전하게! 어린이집 위생·환경 관리 기준, 꼼꼼히 체크하세요!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부모님이라면 누구나 우리 아이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하기를 바라실 겁니다.  어린이집은 아이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인 만큼 위생과 환경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 어린이집의 위생 및 환경 관리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 위생 관리

어린이집 원장은 법적으로 아이들의 감염병 예방 등을 위해 철저한 위생 관리를 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영유아보육법 제33조의4,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34조의3).  보육교직원은 다음 사항들을 수시로 점검하여 아이들의 건강을 지켜야 합니다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23조, 별표 8 제3호다목3).

  • 아이들 건강 체크: 감기, 독감, 홍역 등 유행성 질환 감염 여부를 꼼꼼히 살피고, 피부, 머리, 손발톱, 치아 상태도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어린이집 구석구석 청결 유지: 보육실, 교재교구실, 조리실, 놀이터 등 어린이집 전체 공간의 청소 상태를 꼼꼼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 청결한 침구 및 기저귀: 침구와 기저귀는 아이들의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위생 상태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 깨끗한 욕실과 화장실: 욕실과 화장실은 청결하게 관리하고, 세면도구 등의 위생 상태도 철저히 점검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소독: 조리실, 식품 보관실, 화장실, 침구 등은 정기적으로 소독하여 세균 번식을 막고 항상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23조, 별표 8 제3호다목1).

2.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한 물, 먹는물 관리

깨끗한 물은 아이들의 건강에 필수적입니다. 어린이집에서는 다음과 같은 먹는물 관리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23조, 별표 8 제3호다목2).

  • 상수도/간이상수도 사용 시: 물을 끓여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정수 장치 사용 시: 정기적인 필터 교환 등으로 수질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 지하수 사용 시: 수질검사를 받고 먹는물 수질검사성적서를 반드시 보관해야 합니다.

3. 동물과 함께 안전하게, 동물 관리

어린이집에서 동물을 키우는 경우, 부모님께 미리 알리고 아이들의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23조, 별표 8 제3호다목4).

  • 사전 고지 의무: 동물을 키우는 사실을 부모님께 미리 알려야 합니다.
  • 정기적인 건강 검진: 동물로부터 아이들이 알레르기, 질병, 상해를 입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수의사를 통해 면역 조치 등을 받아야 합니다.
  • 접촉 후 세척: 동물, 곤충, 배설물 등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접촉 부위를 깨끗하게 씻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4. 쾌적한 숨, 실내 공기질 관리

아이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숨 쉴 수 있도록 어린이집은 실내 공기질 관리에도 힘써야 합니다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23조, 별표 8 제3호다목5).

  • 환기와 청소: 어린이집 내부 공기질 유지를 위해 수시로 환기하고 청소해야 합니다.
  • 실내공기질 관리법 준수:  일정 규모 이상의 어린이집은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준수해야 합니다 (실내공기질 관리법 제3조제1항제12호,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12호 및 제12호의2).

5. 위반 시 제재

어린이집이 위생 및 운영 기준을 위반할 경우, 시정명령, 운영정지, 과징금 부과, 원장 자격정지, 위반사실 공표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영유아보육법 제44조, 제45조, 제45조의2, 제46조, 제49조의3,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38조, 제39조,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제25조의8).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어린이집의 위생 및 환경 관리 기준 준수는 필수입니다. 부모님들도 어린이집 선택 시 이러한 기준들을 꼼꼼히 확인하고, 아이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함께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우리 아이 안전하게 맡기세요! 어린이집 위생·건강관리 규정 A to Z

어린이집은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정기적인 건강검진, 응급상황 대처, 위생적인 환경 조성(청소, 소독, 공기질 관리, 먹는물 관리, 동물 관리 등)을 위한 규정을 준수하고 관리한다.

#어린이집#위생#건강관리#건강검진

생활법률

우리 아이 안전, 어린이집 안전관리 핵심 정리!

어린이집은 영유아보육법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시설 안전점검, 놀이시설물 관리, 안전사고 예방 및 교육, 등·하원 안전, 차량 운행, 아동보호구역 관리 등 아이들의 안전을 위한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보호자의 협조도 중요하다.

#어린이집#안전관리#안전점검#시설물 안전

생활법률

우리 아이 안전하게 맡기세요! 유치원 위생관리 꼼꼼 체크!

유치원은 학교보건법 및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환경, 식품, 위생상태(일상/정기/특별 점검), 소독(4~9월 2개월 1회 이상, 10~3월 3개월 1회 이상) 등을 철저히 관리해야 하며, 위반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유치원#위생관리#학교보건법#환경위생

생활법률

우리 아이 건강, 어린이집에서 어떻게 지켜줄까요? (어린이집 건강관리 규정 완벽 정리!)

어린이집은 영유아 및 보육교직원의 정기 건강검진, 감염병 발생 시 격리, 응급상황 대처, 휴원 시 긴급보육 등 법적 규정을 준수하여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 관리에 힘쓰고 있다.

#어린이집#건강#안전#관리규정

생활법률

우리 아이 학교, 깨끗하고 안전할까요? 학교 환경위생 관리 A to Z!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학교는 쾌적한 학습 공간(환기, 채광, 조명, 온·습도, 유해물질 관리 등)과 깨끗한 환경(공기, 소음, 폐기물 관리 등)을 유지하고, 일상·정기·특별 점검을 통해 환경위생 상태를 관리하며 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학교 환경위생#학교보건법#공기 질#소음

생활법률

우리 아이 안전하게 맡길 수 있는 어린이집, 안전 관리는 어떻게?

2024년 어린이집 안전관리는 어린이집의 시설 안전, 보육교직원의 안전교육 및 관리감독 강화, 영유아 안전교육, 그리고 부모참여 및 비상연락체계 구축 등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 및 신속 대응에 중점을 두고 있다.

#어린이집 안전#안전관리 원칙#안전점검#보호·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