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해외여행이나 해외 물품 반입 시 꼭 거쳐야 하는 검역조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검역조사, 왜 필요하고 어떻게 진행되는지 꼼꼼하게 살펴보도록 하죠.
1. 검역조사, 왜 필요할까요?
검역조사는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전염병과 감염 매개체의 국내 유입을 막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해외에서 유입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로부터 우리를 안전하게 지키는 방패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검역법 제12조제1항)
2. 무엇을 조사하나요?
검역소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꼼꼼히 확인합니다.
3. 검역조사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육로 입국: 육로를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경우, 검역구역 또는 출입장소(판문점, 도라산역, 고성역, 국제공항, 무역항 등)에서 검역조사를 받아야 합니다. (검역법 제12조제2항, 검역법 시행규칙 제5조제4항,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제1항)
서류 제출 및 질문: 검역관은 필요에 따라 출입국자와 운송수단의 장에게 항해일지, 항공일지, 운행일지, 선박위생관리 증명서 등 관련 서류 제출을 요구할 수 있으며, 질문이나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검역법 제12조제3항, 검역법 시행규칙 제6조제2항) 서류 제출 요구를 거부하거나 거짓 서류를 제출하는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검역법 제39조제1항제2호)
정보통신기기 활용: 검역관은 검역조사를 위해 정보통신기기를 활용하여 필요한 서류 제출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검역법 제12조제3항, 검역법 시행규칙 제6조제1항)
장비 활용: 검역관은 업무 효율을 위해 정보화기기, 영상정보처리기기, 전자감지기 등 다양한 장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검역법 제12조제4항)
4. 공항/항만 이용 시 알아두면 좋은 정보!
공항이나 항만 등의 시설관리자는 검역관리지역, 중점검역관리지역, 검역 위치, 발생 검역감염병 종류 및 예방법, 감염 의심 시 조치방법 등을 게시물, 방송 등을 통해 이용자에게 안내해야 합니다. (검역법 제29조의6제1항, 검역법 시행규칙 제25조의4제1항)
5. 검역 관련 비밀 누설 금지!
검역 관련 업무 종사자는 업무 중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해서는 안 되며, 위반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검역법 제38조, 검역법 제39조제1항제5호)
이처럼 검역조사는 우리 모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절차입니다. 여행 전 관련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여행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생활법률
해외여행 시 모든 출입국자, 운송수단, 화물은 검역조사 대상이며, 이를 위반하면 처벌받을 수 있으나, 특정 조건에서는 검역조사가 생략될 수 있다.
생활법률
검역법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해외 전염병 유입 방지를 위해 감염자 격리, 소독, 운송수단 제한 등의 조치를 시행하며, 검역감염병 외 감염병 발견 시에도 지자체에 통보하고 예방조치를 취한다.
생활법률
검역소는 국내외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입국자, 물품 검역, 격리, 역학조사, 보건위생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국가 기관이다.
생활법률
항공 입국 검역은 감염병 유입 방지를 위해 서류(승객/승무원 명부, 건강상태 질문서, 항공기 보건상태 신고서 등) 검역을 원칙으로 하되, 감염병 의심환자, 사망자, 감염매개체 존재 등 위험 상황 발생 시 탑승검역을 실시하며, 허위 서류 제출 시 재검역을 실시한다.
생활법률
검역증은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국경을 넘는 사람, 운송수단, 화물 등이 검역을 통과했음을 증명하는 문서이며, 조건부 검역증은 추가 조치 이행 후 검역 통과를 허용하는 증명서이다.
생활법률
운송수단의 장은 승객/승무원의 건강상태 등을 검역소에 통보해야 하며(검역법 제9조), 위반 시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검역법 제41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