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에서 진실만을 말해야 한다는 건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만약 거짓말을 한다면 위증죄로 처벌받을 수 있죠. 그런데, 기억이 잘못되어 실수로 거짓말을 하게 된다면 어떨까요? 단순한 기억의 오류일까요, 아니면 위증죄일까요? 오늘은 위증죄에서 '기억에 반하는 허위진술'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화장품 회사 직원이었던 피고인이 법정에서 과거 거래에 대해 증언한 내용이 위증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투는 것이었습니다. 피고인은 사업자등록증이 없었던 거래처에 물건을 공급한 적이 있었는데, 법정에서 "사업자등록증 없이 물건을 공급할 수 없다"라고 증언했습니다. 검사는 이 증언이 실제 사실과 다르므로 위증이라고 주장했고, 피고인은 기억에 착오가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피고인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위증죄에서 증언이 '기억에 반하는 허위진술'인지 판단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피고인의 증언 전체를 살펴본 결과, 피고인이 사업자등록증 없이 물건을 공급한 사실 자체를 부인한 것이 아니라, '세금 포탈을 위한 무자료 거래는 없었다'는 취지로 답변한 것으로 보았습니다. 즉, 피고인은 사업자등록증이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물건을 공급한 것이 아니라, 정상적인 거래라고 생각하고 공급한 후 나중에 사업자등록을 하도록 도와준 것으로 해석한 것입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피고인의 증언이 객관적 사실에 반하거나 기억에 어긋나는 허위진술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이 판례는 위증죄에서 '기억에 반하는 허위진술'을 판단할 때, 증언의 단편적인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적인 맥락과 증언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단순한 기억의 오류를 위증으로 판단해서는 안 되며, 진술의 진위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판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법정에서 증언할 때 일부분이 사실과 다르더라도 전체적인 맥락에서 진실을 말하려는 의도였다면 위증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증인의 증언 중 일부가 사실과 다르더라도, 전체적인 증언의 취지가 사실과 일치하고 고의로 거짓말을 하려는 의도가 없었다면 위증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법정에서 증인이 거짓말을 했는지 판단할 때는 발언 하나하나만 보지 말고 증언 전체의 흐름을 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법정에서 증언할 때, 사소한 부분에서 기억과 다른 진술을 하더라도 전체적인 맥락에서 진실과 부합한다면 위증죄로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
형사판례
법정에서 증언할 때 실수로 사실과 다르게 말했다면 무조건 위증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위증죄가 성립하려면 자신이 하는 말이 기억과 다르다는 것을 알면서도 거짓으로 말해야 합니다. 단순한 착오나 오해로 잘못 말한 것은 위증죄가 아닙니다.
형사판례
법정에서 증언할 때 사소한 부분에서 기억과 다른 말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위증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증언 전체의 맥락과 객관적인 사실, 그리고 실수나 오해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