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유언장, 제대로 썼나요? 공정증서 유언의 함정!

유언은 고인의 마지막 의사를 표현하는 중요한 행위입니다. 그런데, 정해진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유언의 효력이 없어져 고인의 뜻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정증서 유언은 겉으로 보기에 완벽해 보여도 함정에 빠지기 쉬운데요, 오늘은 실제 판례를 통해 공정증서 유언의 함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돌아가신 甲씨는 생전에 법무법인 소속 공증담당변호사 丙씨 앞에서 乙씨 등 증인이 참여한 가운데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을 남겼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증인 乙씨는 공증담당변호사 丙씨의 친족이었습니다. 이 유언은 효력이 있을까요?

결론: 유언 무효!

안타깝게도 이 유언은 효력이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공정증서 유언은 법이 정한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증인도 아무나 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공증인법 제33조 제3항 제6호에 따르면, 공증인의 친족은 증인이 될 수 없습니다. 이 사례에서 乙씨는 공증담당변호사 丙씨의 친족이기 때문에 증인 자격이 없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이 유언은 민법 제1068조가 정한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것이죠.

'혹시 예외는 없을까?'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공증인법 제33조 제3항 단서 및 제29조 제2항에는 '촉탁인(유언을 남기는 사람)이 참여인(증인)의 참여를 청구한 경우' 예외적으로 증인 자격을 인정하는 규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사례에서는 그러한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보기 어려웠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이 유언을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청주지방법원 2014. 9. 25. 선고 2014가합26078 판결).

유언, 정확한 절차 준수가 필수!

이처럼 유언은 법에서 정한 절차를 정확하게 지켜야 효력이 있습니다. 공정증서 유언을 준비할 때는 증인의 자격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고인의 소중한 마지막 의사가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유언을 준비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아버지가 공증받은 유언장, 효력 있을까요? (공정증서 유언 이야기)

공증받은 유언장이라도 유언자가 직접 유언 내용을 말하지 않고 미리 작성된 문서를 사용한 경우, 유언자의 의사 확인, 낭독 및 이해, 의사능력, 진정한 의사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효력이 인정될 수 있다.

#공정증서 유언#유언 효력#유언 취지 구수#의사능력

민사판례

유언, 제대로 된 절차를 거쳐야 효력이 있습니다.

유언자가 사망하기 전에 작성한 유언 공정증서가 법에서 정한 요건과 절차를 지키지 않아 무효로 판결된 사례입니다. 증인 2명이 참석하지 않았고, 유언자가 유언 내용을 확인하고 서명 날인하는 절차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유언 공정증서#무효#증인#서명 날인

민사판례

유언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유언의 효력과 공정증서 유언

유언은 법으로 정해진 방식을 따라야 효력이 있습니다.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은 유언자가 직접 유언 내용을 말해야 하지만, 예외적으로 유언자가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공증인이 유언자의 의사를 확인하고 대신 낭독하는 방식도 인정될 수 있습니다.

#유언#공정증서#유언방식#구수요건

생활법률

✍️ 공증인 앞에서 똑 부러지게! 공정증서 유언 완벽 정리!

공정증서 유언은 공증인 앞에서 증인 2명과 함께 유언 내용을 구술하여 법적 효력이 강력하고 분쟁 가능성이 낮은 안전한 유언 방식이다.

#유언#공정증서#안전#효력

상담사례

아버지 유언, 제가 증인이 되어도 괜찮았을까요? 😭 유언 증인 자격, 제대로 알아봅시다!

유언으로 재산을 상속받는 수혜자는 유언의 증인이 될 수 없으므로, 아버지의 유언 공정증서에 아들이 증인으로 참여한 경우 해당 유언은 무효입니다.

#유언#증인#자격#이해관계자

민사판례

유언, 어떻게 해야 효력이 있을까?

유언은 법에 정해진 방식을 따라야 효력이 있으며,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도 마찬가지로 엄격한 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다만, 유언자가 의식이 명료하고 자신의 의사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상황에서 공증인이 유언 내용을 미리 작성했더라도, 유언자에게 질문하고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 유언자의 진정한 의사가 반영되었다면 유효한 유언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유언#효력#공정증서#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