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2.13

특허판례

이동식 학습판, 특허권 침해 아니다!

오늘은 이동식 학습판(칠판) 특허권 침해 소송에 대한 흥미로운 판결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기존 제품과 비슷해 보이지만, 핵심적인 차이점 덕분에 특허 침해가 아니라고 인정된 사례입니다.

사건의 발단

이 사건은 새로운 이동식 학습판을 개발한 A씨가 기존 학습판 제조업체 B사를 상대로 특허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B사는 A씨의 학습판이 기존에 이미 나와 있는 학습판들과 크게 다르지 않아 특허로 보호받을 가치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비슷해 보이는 외관에도 불구하고, A씨의 학습판에는 기존 제품들에는 없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핵심 차이점: 보호필름

A씨 학습판의 핵심은 바로 '보호필름'입니다. 마커펜을 사용하는 학습판은 시간이 지나면 잉크가 스며들어 변색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A씨는 학습판 표면에 얇고 투명한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보호필름이 오염되면 필름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학습판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었습니다.

법원은 이 보호필름이 기존 학습판에는 없는 새로운 구성 요소이며, 이로 인해 학습판의 수명 연장이라는 새로운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기존 학습판과 목적, 구성, 효과 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죠. (실용신안법 제5조 제2항)

기존 특허와 비교

법원은 A씨의 학습판이 기존 특허와 유사한 부분도 있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예를 들어, 양면 사용 가능, 이동 가능한 구조, 고정틀과 받침대 등은 기존 특허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이러한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보호필름이라는 핵심적인 차이점 때문에 A씨의 학습판은 기존 특허와 구별되는 독창적인 발명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쉽게 말해, 이미 알려진 기술들을 조합했다고 해서 무조건 특허 침해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판결의 의미

이 판결은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단순히 외관이나 일부 구성 요소의 유사성만 볼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술적 효과를 가져오는 핵심적인 차이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대법원 1995. 12. 12. 선고 94후1787 판결, 대법원 2002. 4. 12. 선고 2001후935 판결 등)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실용신안법 제5조 제2항, 제9조 제4항, 제42조, 제50조
  • 특허법 제97조
  • 대법원 1991. 11. 26. 선고 90후1499 판결 등 여러 판례 참조

이번 판례를 통해 특허권과 관련된 분쟁에서 '진보성'이 얼마나 중요한 기준인지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유사한 사례들을 통해 특허권에 대한 이해를 높여가도록 하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직책 바뀌어도 이름표만 바꾸면 OK! 명패 디자인, 특허권 침해 아닙니다.

직책과 이름이 분리된 명패는 기존의 조립식 블록이나 학습교구와 유사한 결합 방식을 사용하지만, 명패라는 용도에 맞춰 재료 낭비를 줄이는 새로운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진보성이 있는 고안으로 인정되었다.

#명패#진보성#재료 절감#용도

특허판례

내 디자인 도용?! 특허 침해인지 아닌지 알아보자!

특허받은 고안(등록고안)과 비슷한 다른 고안이 특허의 보호 범위에 들어가는지 판단할 때, 중요한 구성요소들이 모두 있어야 합니다. 일부만 같고 중요한 부분이 빠져있다면 특허 침해가 아닙니다.

#등록고안#권리범위#구성요소#특허침해

특허판례

특허 침해, 물건인가 방법인가? - 생산 방법 특허와 제품의 관계

특허받은 생산방법으로 만든 물건도 특허권의 보호를 받는다. 따라서, 특정 생산방법으로 만든 물건이 특허받은 생산방법의 범위에 속하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특허#생산방법#물건#권리범위확인심판

특허판례

특허 침해? 아니, 승강판이 없잖아!

특정 부품(승강판)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구조를 가진 특허 장치가 있는데, 비슷한 기능을 하는 다른 장치가 이 특허를 침해했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법원은 다른 장치에는 특허 장치의 핵심 구성요소인 움직이는 승강판과 같은 기능을 하는 부품이 없다고 판단하여 특허 침해가 아니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특허침해#승강판#프레임#버퍼

형사판례

신규성 없는 고안, 실용신안권 침해일까?

이미 알려진 기술을 약간 변형한 정도의 실용신안은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받을 수 없고, 따라서 이를 모방했다고 해서 실용신안권 침해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실용신안#신규성#권리침해#대법원

특허판례

LED 등기구 특허, 넓게 보호받을 수 있을까?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특허 명세서의 청구범위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특허의 핵심 기술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면서 일부 구성이 변경된 경우에도 침해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을 추가한 경우에도 침해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특허권 침해#청구범위 해석#균등 침해#동일 과제 해결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