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이혼 과정에서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는 바로 재산분할이죠. 복잡한 법률 용어와 세금 문제 때문에 머리가 아프셨을 여러분들을 위해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재산분할 받는 사람(수증자): 세금 거의 없어요!
많은 분들이 재산분할 시 세금 폭탄을 맞는 건 아닌지 걱정하시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재산분할로 받는 쪽은 세금 걱정 거의 안 하셔도 됩니다.
재산분할 해주는 사람(분여자): 이것도 세금 거의 없어요!
재산을 나눠주는 입장에서도 세금 걱정은 크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정리하자면, 재산분할 시 받는 사람은 부동산 취득 시 발생하는 취득 관련 세금만 납부하면 되고, 주는 사람은 납부할 세금이 없습니다. 물론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세금 문제가 달라질 수 있으니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이 글이 이혼 재산분할과 관련된 세금 문제에 대한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상담사례
이혼 재산분할 시 증여세, 소득세, 양도소득세는 면제되지만, 부동산 취득자는 취득세(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포함)를 납부해야 합니다.
세무판례
이혼할 때 재산분할로 받은 부동산은 사고판 것이 아니므로 양도소득세 계산 시 원래 부동산을 취득한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세무판례
부부가 협의이혼하면서 재산을 나누기 위해 서로에게 자산을 이전한 경우, 이는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이 되는 '유상양도'가 아니다.
상담사례
이혼 시 재산분할로 부동산 명의를 이전하는 것은 공유물 분할과 유사하여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이 아니다.
세무판례
단순히 상속세 회피 목적으로 이혼했다고 의심된다는 사정만으로는 이혼 자체를 무효(가장이혼)로 볼 수 없고, 따라서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은 원칙적으로 증여세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재산분할 액수가 지나치게 많고 조세 회피 목적이 명백한 경우에는 그 초과분에 대해서만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채무초과 상태인 남편이 이혼하면서 아내에게 재산을 넘겨 조세 채권자인 국가에 손해를 입힌 사건에서, 법원은 이를 사해행위로 보고 재산분할을 취소했습니다. 이 판결은 이혼 재산분할 시 채무와 재산분할의 상당성, 사해행위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함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