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에는 아직 상수도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이 있습니다. 이곳 주민들은 식수를 얻기 위해 지하수를 개발해야 하는데,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에 중구의회는 주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하수 개발 및 사용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조례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중구청장은 이 조례가 상위법에 어긋난다며 반발했고, 결국 법원의 판단을 구하게 되었습니다. 과연 법원은 어떤 판결을 내렸을까요?
쟁점은 무엇이었을까요?
중구청장은 지하수 개발비 지원 조례가 다음과 같은 법률을 위반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은?
법원은 중구의회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인천 중구의 지하수 개발비 지원 조례가 상위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수도가 없는 지역 주민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법적으로 인정받은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새로 지하수를 개발해서 쓰면 이웃의 생활용수(마실 물 등)에 피해를 줄 수 있는데, 이 경우 이웃은 피해를 막기 위해 공사 중지까지 요구할 수 있다. 행정기관의 허가를 받았더라도 이웃의 생활용수에 피해를 주면 안 된다.
일반행정판례
인천시의회가 제정한 경영수익사업용지 매각 조례안 중 일부 조항이 상위 법령에 위배되고 시장의 권한을 침해하여 위법하다고 판결한 사례.
일반행정판례
인천광역시의회가 의결한 '도시가스공급안정에 관한 조례안' 중 일부 조항이 시장의 권한을 침해하고 상위법에 위배되어 무효라는 대법원 판결.
일반행정판례
인천시가 영종도, 용유도 등 지역 주민에게 공항고속도로 통행료를 지원하는 조례를 만들었는데, 인천시장은 이 조례가 위법하다며 무효라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조례가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인천시에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을 하면서 상수도 시설 설치 비용을 부담했는데, 준공 후 입주하는 가구별로 또 다시 상수도 시설 분담금을 내라는 처분을 받았습니다. 대법원은 이는 부담금의 이중부과로서 위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구청에서 학교 급식시설을 지원하는 조례를 만들었는데, 시청에서 "그건 우리 권한이다!"라고 이의를 제기했지만, 법원은 구청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급식시설 지원은 구청도 할 수 있는 일이라는 판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