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1.06.10

형사판례

인터넷 명예훼손, 핵심은 '거짓'과 '비방 목적'

인터넷에서 누군가를 욕하거나 비난하는 글을 썼다가 명예훼손으로 고소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단순히 기분 나쁜 말을 썼다고 모두 명예훼손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인터넷 명예훼손이 성립하려면 몇 가지 중요한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거짓 사실' 적시와 '비방 목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거짓 사실'을 적시했는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 제70조는 인터넷 명예훼손에 대한 처벌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2항은 '거짓의 사실'을 드러내 명예를 훼손한 경우를 다루는데, 여기서 '거짓'인지 '사실'인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히 의견이나 평가를 표현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언급해야 '사실의 적시'로 인정됩니다. (대법원 2007. 7. 13. 선고 2006도6322 판결 등 참조)

만약 거짓의 사실을 적시했다면, 글쓴이가 그 사실이 거짓임을 알고 있었는지도 중요합니다. 이를 '허위의 인식'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입증할 책임은 검사에게 있습니다. (대법원 2009. 1. 30. 선고 2007도5836 판결, 대법원 2010. 10. 28. 선고 2009도4949 판결 등 참조) 즉, 검사가 글쓴이가 거짓임을 알면서도 글을 썼다는 점을 증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적시된 사실의 중요 부분이 사실과 일치한다면, 약간의 과장이나 세부적인 차이는 '거짓'으로 보지 않습니다. 전체적인 맥락을 살펴봐야 합니다. (대법원 2009. 2. 12. 선고 2008도8310 판결 등 참조)

2. '비방 목적'이 있었는가?

인터넷 명예훼손이 성립하려면 '비방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즉,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하려는 의도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보통신망법 제70조 제2항, 형법 제309조 제1항)

하지만 적시한 사실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비방 목적은 인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공의 이익'은 국가, 사회, 일반 다수인의 이익뿐 아니라 특정 사회집단의 이익도 포함합니다. (대법원 2009. 2. 12. 선고 2008도8310 판결 등 참조)

공공의 이익인지 판단할 때는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비판 대상이 공적인물인지, 표현이 공적 관심 사안에 대한 것인지, 표현 방법은 어떠한지, 표현 동기는 무엇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합니다. (대법원 2005. 4. 29. 선고 2003도2137 판결, 대법원 2005. 10. 14. 선고 2005도5068 판결 등 참조)

결론적으로, 인터넷에서 명예훼손으로 문제가 되지 않으려면, '사실'을 기반으로 글을 쓰고,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표현은 자제해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판례들을 참고하여, 인터넷 활동 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인터넷 명예훼손, 무죄 판결 받으려면?

인터넷 게시글 등으로 허위사실을 적시하여 명예훼손죄로 기소된 사건에서, 법원은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죄의 성립 요건과 공공의 이익을 위한 표현의 한계에 대해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특히 공적인 사안에 대한 비판은, 그 내용이 악의적이거나 현저히 상당성을 잃지 않는 한, 명예훼손죄로 처벌하기 어렵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공공의 이익#비방 목적#표현의 자유

형사판례

인터넷에서 거짓 정보를 퍼뜨렸다고 다 명예훼손일까?

인터넷에 거짓 사실을 올렸더라도 비방 목적이 없다면 명예훼손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검찰은 거짓 사실 유포와 비방 목적 모두를 입증해야 함.

#인터넷 명예훼손#비방 목적#거짓 사실#무죄

형사판례

명예훼손, 어디까지 처벌될까요?

대학 전 총장이 신문광고에 현 이사장이 학교 기본재산을 불법 매각했다는 허위 사실을 게재하여 명예훼손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신문광고#허위사실 적시#명예훼손#유죄

민사판례

인터넷 명예훼손, 어디까지 허용될까?

인터넷 게시물로 인한 명예훼손 소송에서 허위사실 적시 여부,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 존재 여부, 표현의 자유와 명예보호의 균형 등이 쟁점이 되었고, 법원은 정당의 정치적 논평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게시글 작성자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인터넷 게시물#명예훼손#표현의 자유#정당

형사판례

인터넷 명예훼손, 공익 목적 아니면 위법!

인터넷 게시판에 타인을 비방하는 글을 올린 피고인이 명예훼손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피고인은 공익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인터넷 명예훼손#형법#유죄#공익

형사판례

인터넷 명예훼손, 누가 입증해야 할까?

인터넷 게시판에 유학원에 대한 부정적인 글을 올린 피고인이 명예훼손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대법원은 검사가 글의 허위성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했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즉, 인터넷 명예훼손에서 허위사실 적시에 대한 입증 책임은 검사에게 있고, 피고인이 진실을 증명하지 못했다는 이유만으로 유죄로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인터넷 명예훼손#허위사실 입증책임#검사#비방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