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10.14

민사판례

일용직 배관공의 월평균 가동일수, 25일 인정한 사례

교통사고로 사망한 일용직 배관공의 유족들이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에서, 법원은 배관공의 월평균 가동일수를 25일로 인정하여 일실수입(사고로 잃어버린 수입)을 계산했습니다. 이 판결은 일용직 근로자의 수입 계산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사건의 핵심은 일용직 배관공이 사고가 없었다면 60세까지 꾸준히 일할 수 있었을 것이고, 매달 평균 며칠이나 일했을 것인가를 판단하는 것이었습니다. 피고 측은 노동부의 1990년 조사 보고서를 근거로 배관공의 월평균 근로일수가 20.7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이러한 통계자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경험칙에 따라 월 25일의 가동일수를 인정했습니다.

법원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일용직 배관공은 60세까지 매달 평균 25일 일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경험칙”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노동부의 통계자료가 존재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이러한 경험칙을 뒤집을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일반적인 경험칙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죠.

이 판결은 대법원의 기존 판례(대법원 1992.9.1. 선고 92다24516 판결, 1993.4.9. 선고 92다20651 판결)와도 일맥상통합니다. 이러한 판례들은 일용직 근로자의 가동일수를 판단할 때 경험칙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원칙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이번 판결에서 언급된 법조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민법 제763조(제393조): 손해배상의 범위를 정하는 조항입니다.
  • 민사소송법 제187조: 증거에 의한 사실인정에 관한 조항입니다.

이 판결은 일용직 근로자의 손해배상 소송에서 가동일수 산정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경험칙에 따라 월 25일의 가동일수를 인정한다는 원칙은 앞으로도 유사한 사건에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일용직 근로자의 일실수입 계산,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일용직 전기 기술자의 사고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법원은 일실수입(사고로 잃어버린 수입)을 계산할 때 단순한 경험칙이 아닌 객관적인 통계자료 등을 바탕으로 일할 수 있는 날(가동일수)을 정해야 한다는 판례.

#일실수입#가동일수#객관적 자료#경험칙

민사판례

일용직 송전 전공 근로자의 월 가동일수, 25일로 단정 지을 수 있을까?

교통사고로 다친 일용직 송전 전공 근로자의 손해배상 소송에서, 법원이 그의 월 가동일수를 경험칙에만 의존하여 25일로 인정한 것은 잘못이라는 대법원 판결.

#일용직#송전 전공#월 가동일수#손해배상

민사판례

일용직 근로자의 일실수입 계산, 경험칙만으로는 안 돼요!

기능공의 일실수입을 계산할 때, 단순히 경험칙에 의존하여 하루 일당에 곱할 가동일수(일할 수 있는 날)를 정해서는 안 되고, 객관적인 통계자료 등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정해야 합니다.

#일실수입#가동일수#객관적 자료#경험칙

민사판례

일용직 조적공의 소득 손실, 어떻게 계산할까요?

교통사고로 다친 일용직 조적공의 소득 손실을 계산할 때, 법원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60세까지 매월 평균 25일 일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일용직#조적공#월평균 가동일수#25일

민사판례

농촌 일용직 노동자의 월 소득 계산, 하루라도 중요합니다!

특별한 기술 없이 농촌에서 일용직으로 일하는 사람의 월급 계산 시 기준이 되는 일할 수 있는 날짜(가동일수)는 보통 25일로 본다.

#농촌#일용직#가동일수#25일

민사판례

일용직 도장공의 소득, 어떻게 계산할까요?

교통사고로 사망한 일용직 도장공의 소득 손해를 계산할 때, 60세까지 매월 25일 일할 수 있다고 본 판결입니다.

#일용직#도장공#소득#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