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0.11.26

일반행정판례

입찰 담합, 하나로 묶어서 처벌할 수 있을까? 그리고 과징금은 어떻게 계산할까?

오늘은 기업들의 입찰 담합과 관련된 법원 판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 대신 쉬운 말로 풀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핵심 쟁점 3가지

이번 사건의 핵심 쟁점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여러 번의 담합, 하나로 볼 수 있을까? 기업들이 오랫동안 여러 번 담합을 했는데, 매번 명확한 큰 그림을 그린 건 아니었어요. 그래도 같은 목표를 가지고 계속해서 담합을 해왔다면, 이걸 하나의 담합으로 볼 수 있을까요? 법원은 "가능하다"라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2009. 1. 30. 선고 2008두16179 판결) 중간에 담합 방식이 조금 바뀌거나 경쟁 입찰이 잠깐 있었더라도, 전체적으로 담합이 쭉 이어져 왔다면 하나로 묶어서 볼 수 있다는 거죠.

  2. 담합 과징금, 계약금액 기준으로 계산? 입찰 담합 과징금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법원은 "계약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2조, 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 제1항, 제61조 제1항 [별표 2] 제2호 (가)목) 낙찰받은 기업뿐 아니라, 담합에 참여했지만 낙찰받지 못한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쉽게 말해, 담합에 참여했으면 낙찰 여부와 상관없이 계약 금액을 기준으로 과징금을 내야 한다는 겁니다.

  3. 여러 입찰 담합, 각각 과징금 부과 가능? 기업들이 여러 건의 입찰에서 담합을 했는데, 큰 틀에서 어떤 기업이 어떤 입찰에 참여할지 미리 정해놓고, 각각의 입찰에서도 담합을 했다면 어떨까요? 이 경우, 큰 틀의 합의만으로 모든 입찰의 계약금액을 합쳐서 과징금을 매기는 것은 안 되지만, 각각의 입찰에서 담합한 것이 확인되면 각 입찰의 계약금액을 기준으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고 법원은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2017. 4. 27. 선고 2016두33360 판결)

과징금 부과, 재량권 남용은 아닌가?

이번 판결에서 기업은 과징금 부과가 과도하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공정거래위원회가 담합의 심각성, 기업의 역할, 조사 협조 여부 등을 고려해서 과징금을 정했기 때문에 재량권 남용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단순히 들러리로 참여한 기업과 달리, 이익을 나눠 가진 기업은 더 무겁게 처벌될 수 있다는 점도 명확히 했습니다.

이번 판결은 기업들의 담합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공정한 경쟁 질서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앞으로도 유사한 사례에서 어떤 판단이 내려질지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입찰 담합 과징금, 어떻게 계산될까? 낙찰 못 받아도 내야 할까?

입찰 담합에 참여한 건설사에 대한 과징금은 실제 낙찰 여부와 관계없이 계약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해야 하며, 여러 입찰에서의 담합이 있더라도 각각의 입찰 계약 금액을 기준으로 별도로 계산해야 한다.

#입찰 담합#과징금#계약 금액#낙찰 여부

일반행정판례

입찰 담합 과징금, 계약금액 기준으로 어떻게 계산될까?

여러 건의 입찰에서 담합이 있었을 때, 담합에 참여한 회사가 실제로 낙찰받지 못한 입찰에 대해서도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과징금은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실제로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더라도 담합에 가담했다면 과징금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입찰 담합#과징금#계약금액#낙찰 여부

일반행정판례

입찰 담합 과징금, 어떻게 계산될까?

이 판례는 건설사들의 입찰담합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과징금 부과 처분에 대해, 낙찰받지 못한 참여자에게도 계약금액을 기준으로 과징금을 산정할 수 있지만, 과징금 액수가 위법성의 정도와 이득액의 규모에 비해 과도하게 높다면 재량권 일탈·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입찰담합#과징금#계약금액#재량권 일탈·남용

일반행정판례

세제 회사들의 가격 담합, 과징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여러 차례 가격 담합을 하나의 위반행위로 볼 수 있는지, 과징금 계산 시 관련 상품 범위를 어떻게 정하는지, 그리고 회사 분할 시 신설회사에 이전 회사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가격 담합#과징금#회사 분할#관련 상품 범위

일반행정판례

건설사 입찰 담합 과징금, 계약금액 기준으로 산정해도 괜찮을까?

여러 건설사가 함께 입찰에 참여하여 낙찰받은 경우, 담합에 대한 과징금을 계산할 때 전체 계약금액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건설사#입찰 담합#과징금#계약금액

일반행정판례

입찰담합 과징금 계산, 계약금액 전부가 기준이 아닐 수 있다!

건설공사 입찰 담합 과징금 계산 시, 관급자재 구매, 폐기물 처리, 문화재 조사 등의 비용처럼 원래 공사 계약과 별도로 처리되어야 할 부분은 계약금액에서 제외해야 한다.

#입찰 담합#과징금#매출액#계약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