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10.12

민사판례

입찰 담합으로 인한 손해배상, 어떻게 계산할까요?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입찰 담합으로 인한 손해배상 계산 방법과 관련된 법원 판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업들이 담합하여 입찰 가격을 부풀리는 경우, 피해 기업은 어떻게 손해를 입증하고 보상받을 수 있을까요? 이번 판결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담합으로 인한 손해, 가상 경쟁가격이 핵심!

입찰 담합으로 인한 손해는 실제 낙찰가격과 담합이 없었을 경우의 가상 경쟁가격의 차액으로 계산됩니다. 핵심은 바로 이 "가상 경쟁가격"을 어떻게 산정하는가입니다. 가상 경쟁가격은 담합으로 인한 가격 상승분을 제외하고, 다른 시장 요인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추정해야 합니다.

가상 경쟁가격, 어떻게 구할까? 다양한 방법 존재!

문제는 가상 경쟁가격이 실제로 존재하는 가격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경제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담합 전후의 가격을 비교하는 '전후비교법', 유사한 다른 시장의 가격을 비교하는 '표준시장비교법', 그리고 계량경제학적 방법 등이 있습니다. 법원은 사건의 특성, 시장 상황, 자료의 범위 등을 고려하여 가장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선택합니다.

여러 감정 결과가 다르다면? 법원의 판단 존중!

같은 사안에 대해 여러 감정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때 감정 방법에 논리적, 경험적 오류나 불합리한 점이 없다면, 어떤 감정 결과를 채택할지는 법원의 재량입니다. (민사소송법 제202조)

실제 사례: 한국전력공사 vs. 전선업체들

한국전력공사가 전선 구매 입찰에서 담합한 업체들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원심 법원은 전후비교법을 채택하여 담합이 없었을 경우의 가상 경쟁낙찰률을 추정했습니다. 그리고 여러 감정 결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손해액을 산정했는데, 대법원은 이 판단에 문제가 없다고 보았습니다. (대법원 2002. 9. 24. 선고 2002다30275 판결, 대법원 2011. 7. 28. 선고 2010다18850 판결 참조) 법원은 담합 종료 직후의 낙찰률 급락, 소송 제기 후 입찰가격 조정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경쟁기간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손해액을 산정한 원심의 판단을 지지했습니다.

결론: 합리적인 손해배상, 법원의 역할 중요!

입찰 담합으로 인한 손해배상은 복잡한 경제 분석을 필요로 합니다. 가상 경쟁가격 산정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법원은 사건의 특성에 맞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여러 감정 결과가 존재할 경우에도 법원의 판단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민법 제393조, 제763조 참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입찰 담합 과징금, 계약금액 기준으로 어떻게 계산될까?

여러 건의 입찰에서 담합이 있었을 때, 담합에 참여한 회사가 실제로 낙찰받지 못한 입찰에 대해서도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과징금은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실제로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더라도 담합에 가담했다면 과징금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입찰 담합#과징금#계약금액#낙찰 여부

일반행정판례

입찰 담합 과징금, 어떻게 계산될까? 낙찰 못 받아도 내야 할까?

입찰 담합에 참여한 건설사에 대한 과징금은 실제 낙찰 여부와 관계없이 계약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해야 하며, 여러 입찰에서의 담합이 있더라도 각각의 입찰 계약 금액을 기준으로 별도로 계산해야 한다.

#입찰 담합#과징금#계약 금액#낙찰 여부

일반행정판례

입찰 담합 과징금, 어떻게 계산될까?

이 판례는 건설사들의 입찰담합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과징금 부과 처분에 대해, 낙찰받지 못한 참여자에게도 계약금액을 기준으로 과징금을 산정할 수 있지만, 과징금 액수가 위법성의 정도와 이득액의 규모에 비해 과도하게 높다면 재량권 일탈·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입찰담합#과징금#계약금액#재량권 일탈·남용

일반행정판례

입찰 담합, 하나로 묶어서 처벌할 수 있을까? 그리고 과징금은 어떻게 계산할까?

장기간에 걸쳐 여러 번 입찰 담합을 한 경우, 전체를 하나의 위법 행위로 보고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과징금은 담합에 참여했지만 낙찰받지 못한 사업자에게도 부과되며, 계약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입찰 담합#과징금#계약 금액#하나의 위법 행위

일반행정판례

입찰담합 과징금, 예상금액 아닌 실제 계약금액 기준이어야!

자동차 부품 입찰 담합에 대한 과징금 부과 시, 공정거래위원회는 예상 계약 금액을 기준으로 과징금을 산정했지만, 대법원은 실제 계약 금액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예상 금액을 기준으로 한 과징금 부과는 위법입니다.

#입찰 담합#과징금#실제 계약 금액#예상 금액

형사판례

입찰 담합, 낙찰 결과와 상관없이 처벌될 수 있다!

입찰 담합은 실제로 입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더라도 입찰의 공정성을 해칠 위험이 있으면 처벌된다.

#입찰 담합#처벌#위태범#공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