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2.02.09

일반행정판례

장기요양등급 판정 관련 정보공개, 어디까지 가능할까?

최근 어머니의 장기요양등급 판정에 불만을 가진 아들이 관련 정보 공개를 청구했지만, 건강보험공단에서 일부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법적 분쟁까지 이어진 사례가 있었습니다. 정보공개는 국민의 권리이지만, 공공기관의 업무 공정성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데요. 이번 판례를 통해 어떤 정보가 공개될 수 있고, 어떤 정보는 공개가 제한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보공개 청구, 무엇이 문제였을까?

아들 甲씨는 어머니 乙씨의 장기요양등급 판정에 의문을 품고, 건강보험공단에 관련 정보 공개를 청구했습니다. 구체적으로 ① 수기로 작성된 장기요양인정조사표, ② 장기요양등급판정위원회 회의록 등을 요구했는데요. 건강보험공단은 수기 조사표는 전산 입력된 자료 외에 원본이 없다는 이유로, 회의록은 공개 시 업무 공정성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비공개 결정을 내렸습니다.

쟁점 1: 수기로 작성된 조사표, 공개해야 할까?

건강보험공단은 수기 조사표를 공개할 필요성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수기 조사표 역시 건강보험공단이 직무상 작성하고 관리하는 문서이므로, 정보공개법에 따라 공개 대상이 된다고 판단했습니다. 단순히 공개 필요성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비공개할 수는 없다는 것이죠. 정보공개법 제2조 제1호, 제3조, 제5조 제1항에 따라 국민은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정보에 대한 공개를 청구할 권리를 가집니다.

핵심 법 조항: 정보공개법 제2조 제1호, 제3조, 제5조 제1항

쟁점 2: 장기요양등급판정위원회 회의록, 공개해야 할까?

건강보험공단은 회의록 공개 시 위원회의 공정한 심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요. 대법원은 회의록이 의사결정 과정이 기록된 문서이며, 이를 공개할 경우 위원회의 심의 업무 공정성에 현저한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따라서 회의록은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비공개 대상이 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조항은 '업무의 공정한 수행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정보'는 비공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핵심 법 조항: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5호

핵심 판례: 대법원 2003. 8. 22. 선고 2002두12946 판결, 대법원 2010. 6. 10. 선고 2010두2913 판결

이 판례들은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5호의 ‘업무의 공정한 수행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한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에 대한 해석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공개될 경우 업무의 공정한 수행이 객관적으로 현저하게 지장을 받을 것이라는 고도의 개연성이 존재해야 비공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수기로 작성된 장기요양인정조사표는 공개 대상이지만, 장기요양등급판정위원회 회의록은 비공개 대상이라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정보공개 청구는 국민의 알 권리 보장을 위한 중요한 제도이지만, 공공기관 업무의 공정성과 같은 다른 가치와의 균형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정보공개, 어디까지 가능할까? 알 권리와 공공기관의 직무수행 사이의 줄다리기

이 판례는 정보공개청구 소송에서 ① 이미 다른 경로로 알려진 정보도 공개해야 하는지, ② 어떤 정보가 직무수행을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정보인지, ③ 검찰 내부 연구자료를 공개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정보공개청구#공개된 정보#직무수행 곤란 정보#내부 검토자료

일반행정판례

교도소 정보공개, 어디까지 가능할까? - 근무보고서와 징벌위원회 회의록 공개 사례

재소자가 교도관의 가혹행위 증거 확보를 위해 근무보고서와 징벌위원회 회의록 공개를 요청했으나 교도소 측이 거부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근무보고서는 공개해야 하고, 징벌위원회 회의록은 일부 내용만 공개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정보공개는 원칙적으로 허용되며, 비공개하려면 구체적인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정보공개#근무보고서#징벌위원회 회의록#가혹행위

일반행정판례

독립유공자 심사 회의록, 공개해야 할까? 알 권리 vs. 공정한 심사

독립유공자 포상 심사 회의록은 공개될 경우 심사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공개 대상이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

#독립유공자#공적심사#회의록#공개청구

일반행정판례

공공기관 정보공개, 어디까지 가능할까? - 업무 공정성과 알 권리 사이의 균형

공공기관이 정보 공개를 거부할 때, '업무의 공정한 수행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이유가 항상 정당한 것은 아닙니다. 정보 공개로 얻는 국민의 알 권리와 정보 비공개로 보호되는 업무의 공정성을 비교하여 판단해야 하며, 단순히 현재 업무뿐 아니라 장래 업무에도 영향을 줄지 고려해야 합니다.

#정보공개#거부#공정성#알권리

일반행정판례

교도소 정보공개, 어디까지 가능할까?

정보공개를 거부당했을 때, 비공개 정보와 공개 가능 정보가 섞여 있다면 공개 가능한 부분만이라도 공개해야 하며, 정보가 폐지되었다고 해서 바로 폐기된 것은 아니므로 공공기관이 폐기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또한, 교정 관련 정보라도 교정 업무 수행을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공개해야 한다.

#정보공개청구#부분공개#정보보유·관리책임#교정정보

일반행정판례

시험 정보 공개, 어디까지 가능할까? 알 권리와 공정성 사이의 줄다리기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자료는 일부 비공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수능시험 원데이터(개인정보 제외)는 연구 목적일 경우 공개해야 한다.

#학업성취도평가#수능시험#원데이터#정보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