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3.06.28

세무판례

장례식장 음식 제공, 부가세 면제될까?

장례식장에서 제공되는 음식에도 부가가치세가 붙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하지만 최근 대법원 판례는 특정 상황에서 장례식장 음식 제공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제를 인정했습니다. 오늘은 이 판례를 통해 장례식장 음식 제공과 부가가치세 면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학교법인(이하 '원고')은 병원 장례식장을 임차하여 운영하면서 상주 등에게 음식을 제공했습니다. 원고는 이 음식 제공 용역을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으로 판단하여 면세 신고를 했습니다. 그러나 과세관청은 이에 대해 부가가치세 부과 처분을 내렸고, 이에 불복한 원고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장례식장에서 제공되는 음식이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인 '장의 용역'에 부수되는 용역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장례식장에서 제공되는 음식물 제공 용역이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인 장의 용역에 통상적으로 부수된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 거래 관행: 장례식장에서 조문객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것은 일반적인 관행입니다.
  • 법령의 취지: 장례 의식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부가가치세 면세 제도의 취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음식 제공의 특수성: 장례식장 음식 제공은 일반 음식점과 달리 특정 조문객을 대상으로 제한된 장소에서 이루어집니다.

관련 법령

이 판결은 다음과 같은 법령을 참조하고 있습니다.

  • 구 부가가치세법(2010. 1. 1. 법률 제991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조 제4항(현행 제14조 제1항 참조), 제12조 제1항 제4호(현행 제26조 제1항 제5호 참조), 제3항(현행 제26조 제2항 참조)
  • 구 부가가치세법 시행령(2010. 2. 18. 대통령령 제2204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2호, 제29조 제6호

결론

이 판례는 장례식장 음식 제공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제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모든 장례식장 음식 제공이 면세되는 것은 아니지만, 거래 관행 등을 고려하여 면세 대상으로 인정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의미있는 판결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대학병원 주차장과 직원식당,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일까?

대학병원이 운영하는 부설주차장과 직원식당에서 제공하는 용역은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이 아니다.

#대학병원#부설주차장#직원식당#부가가치세

세무판례

병원 구내식당 운영, 부가가치세 납부해야 할까?

병원 구내식당을 빌려서 운영하는 사람은 부가가치세를 내야 하는 독립된 사업자로 봐야 한다. 병원과 별개로 사업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병원이 면세사업자라 하더라도 구내식당 운영자는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병원 구내식당#부가가치세#독립사업자#면세

세무판례

김치 가공 용역, 부가세 면제 대상일까?

김치를 만들어주는 용역(가공 용역)은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이 아닙니다. 김치 자체는 면세 대상이지만, 김치를 만들어주는 서비스는 별도의 용역으로 간주되어 부가가치세가 과세됩니다.

#김치#가공 용역#부가가치세#과세

세무판례

집세에도 부가세를 내야 할까? 주택 임대와 부가가치세 면제

주택 임대 시 부가가치세 면제 여부는 등기부상 용도나 계약서 내용이 아닌, 실제로 어떻게 사용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제도이므로, 실제로 주거용으로 사용하지 않았다면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주택임대#부가가치세 면제#실제사용용도#주거용

세무판례

보험조사업체,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일까?

보험사로부터 위탁받아 보험계약 및 사고 조사를 하는 회사가 제공하는 용역은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이 아니다. 세법에서 면세 대상으로 정하는 것은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보험조사업#부가가치세#면세#대법원

세무판례

일반과세자가 간이과세자에게 사업 양도시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일반과세자가 간이과세자에게 사업을 양도할 때, 단순히 사업의 형태만 유지되고 과세 유형이 바뀌는 경우에는 사업의 포괄적 양도로 보지 않고 재화의 공급으로 보아 부가가치세를 과세한다.

#부가가치세#사업양도#일반과세자#간이과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