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재개발 분양, 꼭 알아야 할 A to Z!

재개발! 낡은 주택을 허물고 새 아파트를 짓는다는 기대감에 부풀어 오르지만, 복잡한 절차와 용어 때문에 머리가 지끈거리시나요? 걱정 마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개발 분양의 핵심, 분양 통지, 분양 공고, 분양 신청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

1. 분양 통지: 나에게 오는 특별한 편지

사업시행계획인가 고시일(시공사 선정 후 계약 체결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사업시행자는 토지등소유자에게 분양 통지를 보냅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2조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59조제2항) 이 편지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을까요?

  • 내 땅, 내 건물 정보와 가격: 재개발 전 내 소유의 토지 또는 건축물에 대한 명세와 가격이 적혀있습니다. 사업시행계획인가 고시일을 기준으로 가격을 산정하며, 만약 사업시행계획인가 전에 철거된 건축물이라면 철거 허가일 기준입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81조제3항)
  • 예상 분담금: 새 아파트를 받기 위해 내야 하는 추가 금액(분담금)의 추산액을 알려줍니다.
  • 분양 신청 기간: 분양 신청을 할 수 있는 기간을 명시합니다.
  • 분양 신청서: 분양 신청에 필요한 서류입니다.
  • 기타 정보: 지자체 조례로 정하는 추가 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토지등소유자는 정비구역 내 토지 또는 건축물 소유자 또는 지상권자를 말합니다. 신탁의 경우, 위탁자를 토지등소유자로 봅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2조제9호, 제27조제1항)

2. 분양 공고: 모두에게 알리는 공개 선언

분양 통지와 마찬가지로, 사업시행계획인가 고시일(시공사 선정 후 계약 체결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사업시행자는 지역 일간신문에 분양 공고를 합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2조제1항, 동법 시행령 제59조제1항) 단, 토지등소유자 1인이 시행하는 재개발 사업은 예외입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2조제1항 단서) 분양 공고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1. 사업시행인가 내용
  2. 정비사업 종류, 명칭, 정비구역 위치 및 면적
  3. 분양 신청 기간 및 장소
  4. 분양 대상 대지 또는 건축물 내역
  5. 분양 신청 자격
  6. 분양 신청 방법
  7. 토지등소유자 외 권리자의 권리 신고 방법
  8. 분양 미신청자에 대한 조치
  9. 기타 지자체 조례로 정하는 사항

3. 분양 신청: 새 아파트를 향한 첫걸음

  • 신청 기간: 분양 통지일로부터 30일 이상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2조제2항) 관리처분계획 수립에 지장이 없다면 사업시행자는 분양 신청 기간을 20일 범위 내에서 한 번 연장할 수 있습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2조제2항 단서)
  • 신청 방법: 분양 신청서는 소유권 내역을 명확히 기재하고, 등기부등본 또는 환지예정지증명원을 첨부하여 사업시행자에게 제출합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2조제3항, 동법 시행령 제59조제3항) 우편 접수 시, 기간 내 발송 증빙이 필요합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 제59조제3항 후단) 사업시행자는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통해 첨부 서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 제59조제5항)
  • 추가 분담금으로 추가 분양 신청: 분양받을 수 있는 것 외에 추가로 대지 및 건축물(주택 제외)을 분양받으려면, 신청 시 그 의사를 명확히 하고 종전 토지/건축물 가격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부해야 합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 제59조제4항)
  • 재분양 공고: 사업시행계획 변경으로 세대수 또는 주택 규모가 변경되면, 재분양 공고를 합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2조제4항) 또한, 정관 또는 총회 의결을 통해 분양 미신청자 또는 신청 철회자에게 재분양 신청 기회를 줄 수 있습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2조제5항, 제73조제1항)
  • 분양 신청 제한 (투기과열지구): 투기과열지구의 경우,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분양 대상자는 5년간 분양 신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단, 상속, 결혼, 이혼으로 조합원 자격을 얻은 경우는 예외입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2조제6항)
  • 잔여분 분양: 분양 신청 후 잔여분 발생 시, 사업시행자는 보류지로 정하거나 조합원/토지등소유자 외의 자에게 분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택법 제54조를 준용합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9조제4항, 동법 시행령 제67조)

재개발 분양, 이제 조금 이해가 되셨나요? 복잡한 절차 속에서도 꼼꼼하게 정보를 확인하고, 내 권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분양신청, 제대로 알려줘야죠! 알고 보면 중요한 분양신청 통지 절차

재개발 사업에서 토지 등 소유자에게 분양 신청 기회를 주지 않고 토지를 수용한 것은 위법하다는 판결입니다. 분양 신청 기간과 방법을 명확하게 알려줘야 하며, 이를 어긴 수용재결은 효력이 없습니다.

#재개발#분양 신청#수용재결#위법

생활법률

재건축 아파트,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다! 분양과 관리, 핵심만 쏙쏙!

낡은 주택을 허물고 새 아파트를 짓는 재건축 사업은 관리처분계획에 따라 조합원에게 새 아파트를 공급하고, 잔여 주택은 일반분양하며, 미동의 소유자에겐 매도청구소송을 진행하고, 경우에 따라 지분형 주택을 공급하며, 관리처분계획 인가 후 기존 건축물 사용/수익을 제한하고 철거를 진행한다.

#재건축#대지#건축물#처분

생활법률

재개발, 관리처분계획 인가 받는 방법 완벽 정리! (feat. 법조항)

재개발 사업의 최종 단계인 관리처분계획 인가는 공람 및 의견청취 후 인가 신청, 타당성 검증, 인가 결정 및 고시, 종전 토지/건축물 사용 금지 등의 절차를 거치며, 경미한 변경사항은 신고로 대체 가능하고, 시장/군수/구청장은 인가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관리처분계획#인가#신청#서류

생활법률

낡은 우리 아파트, 리모델링 할 수 있을까? 주택법 완전 정복!

낡은 주택 리모델링이나 새 아파트 분양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해 주택법의 주요 내용, 즉 분양 관련 절차, 자격요건, 분양가 상한제, 거주의무, 전매제한, 리모델링 종류와 허가 절차 등을 정리하여 설명하고 있다.

#주택리모델링#주택공급#주택법#분양

생활법률

재개발/재건축 시공사 계약, 꼼꼼하게 따져보자!

재개발·재건축 시공사 계약 시, 계약서 명확히 작성하고(철거공사 포함), 시공사의 3개월 내 계약 불이행 시 선정 무효 가능하며, 공사비 증액 시 검증 요청하고, 시공보증서 제출을 확인해야 한다.

#재개발#재건축#시공사#계약

생활법률

재건축·재개발 동의, 헷갈리지 말자! A to Z 완벽 정리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동의는 검인된 동의서에 본인이 직접 서명하고 지장을 찍어야 효력이 발생하며, 추진위·조합설립 단계, 주택단지 여부에 따라 동의 요건(토지등소유자 과반수 또는 각 동별 구분소유자 과반수 및 전체 4분의 3 이상 등)이 다르고, 공동소유는 대표 1인만 인정되며, 추진위 동의는 조합설립 동의로 간주되지만 철회/반대 의사 표시는 내용증명으로 가능합니다.

#재건축#재개발#동의#동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