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재건축! 낡은 집을 허물고 새 아파트를 짓는다는 설렘, 누구나 한 번쯤 꿈꿔보셨을 텐데요. 하지만 복잡한 절차와 법적인 내용 때문에 막막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오늘은 재건축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분양과 관리에 대한 핵심 정보를 쉽고 간략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재건축 후 새 아파트는 어떻게 나눠주나요? (분양)
재건축으로 새롭게 지어진 아파트와 대지는 '관리처분계획'에 따라 분배됩니다. 이 계획은 재건축 사업의 중요한 로드맵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9조제1항)
2. 지분형 주택이란 무엇인가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사업시행자인 경우, '지분형 주택'이라는 제도를 통해 분양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분양받는 사람과 사업시행자가 일정 기간 동안 주택을 공동 소유하는 방식입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80조제1항 및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 제70조)
3. 재건축 전에 살던 집, 언제까지 살 수 있나요? (사용/수익 제한 및 철거)
재건축은 복잡한 과정이지만, 꼼꼼하게 정보를 파악하고 준비한다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재건축 분양 및 관리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생활법률
재개발 후 주택 공급은 기존 소유자에게 분양되며, 임대주택은 기존 세입자, 분양권 포기자 등에게 우선 공급되고, 지분형 주택과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은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에게 공급된다.
생활법률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핵심인 관리처분계획은 새 아파트 분양 대상, 가격, 추가분담금 등 미래 재산 상황을 결정하는 계획으로, 조합원은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총회에 참석하여 권리를 행사해야 한다.
민사판례
아파트 재건축 결의는 어느 정도로 구체적이어야 하며, 언제 이루어져야 하는지, 그리고 조합원 간의 형평성은 어떻게 판단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구 도시정비법 적용 여부를 판단한 판례입니다.
생활법률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핵심인 관리처분계획은 낡은 집 대신 새 집 분배, 비용, 세입자 보상 등을 정리한 설계도로, 분양 설계, 분양 대상자 정보, 비용, 기존 자산 정보, 세입자 보상 등이 포함되며, 균형있는 분배, 합리적 이용 등의 기준에 따라 수립되고 경미한 사항 변경 시에는 신고로 대체 가능하다.
생활법률
재개발 분양은 토지등소유자에게 분양통지 후 공개적으로 분양공고하고, 30~60일 내 분양신청을 받으며, 미신청/변경 시 재분양, 잔여분 발생 시 일반분양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생활법률
낡은 집 철거는 사업시행계획, 관리처분계획인가, 건축물관리법/건축법/주택법에 따른 허가·신고·착공 절차를 준수해야 하며, 석면조사, 안전사고 예방 등에도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