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09.25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이전고시 후에는 조합설립인가 취소 못 시켜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개발 사업에서 중요한 이전고시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복잡한 내용이지만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이전고시란 무엇일까요?

재개발 사업이 끝나고 새 아파트가 완공되면, 조합원들은 원래 살던 집 대신 새 아파트를 분양받게 됩니다. 이때 누가 어떤 집을 받을지 정해진 내용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절차가 바로 '이전고시'입니다. 이 고시가 나면 새 아파트의 소유권이 조합원들에게 넘어가게 되죠.

이번 판결의 핵심은?

이전고시가 나온 후에는 조합 설립 인가를 취소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재개발 사업 과정에서 조합 설립 인가에 문제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취소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전고시가 이미 나왔다면, 설사 조합 설립에 문제가 있었더라도 취소할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왜 이런 판결이 나왔을까요?

이전고시가 나오면 조합원들의 권리 관계가 확정됩니다. 누가 어떤 집을 분양받는지 정해지고, 이를 기준으로 새로운 법률 관계(예: 대출, 전세 계약 등)가 만들어집니다. 만약 이전고시 후에 조합 설립이 취소된다면, 이미 형성된 수많은 법률 관계가 엉클어지고 엄청난 혼란이 발생하겠죠?

대법원은 이러한 혼란을 막고 법적 안정성을 지키기 위해 이전고시 후에는 조합 설립 인가 취소를 불가능하게 한 것입니다. 재개발 사업의 공익적 성격과 이미 형성된 법률 관계를 보호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이죠.

관련 법조항과 판례는?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54조 제1항, 제2항, 제55조 제1항: 이전고시의 절차와 효력에 대한 규정입니다.
  • 대법원 2012. 3. 22. 선고 2011두6400 전원합의체 판결: 이번 판결의 근거가 된 중요 판례입니다. 이 판례에서 대법원은 이전고시 후에는 관리처분계획을 변경하거나 무효화할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재개발 이전고시는 사업의 마무리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이전고시가 효력을 발생하면 조합원들의 재산권이 확정되고, 이후에는 조합 설립 인가를 취소할 수 없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완료 후 소유권 이전? 이젠 돌이킬 수 없어요!

재개발사업에서 소유권 이전고시가 된 후에는 그 이전에 이루어진 토지 수용재결에 대해 다툴 수 없다.

#재개발#이전고시#수용재결#취소 불가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사업에서 소유권 이전 고시 후에는 어떻게 될까요?

재개발 사업에서 소유권 이전고시가 완료되면, 이전에 이루어진 토지 수용에 대한 이의제기를 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즉, 이전고시는 되돌릴 수 없고, 이후에는 수용재결에 대한 소송도 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재개발#이전고시#수용재결#취소불가

일반행정판례

재건축 이전고시 후에는 사업시행계획이나 관리처분계획에 대한 소송이 불가능합니다.

재건축 아파트 이전고시 후에는 조합원이 사업시행계획이나 관리처분계획의 취소를 소송으로 다툴 수 없다.

#재건축#이전고시#사업시행계획#관리처분계획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이전고시 후 관리처분계획 변경, 꼭 총회 의결 필요할까?

재개발 사업에서 이전고시 후에는 관리처분계획의 취소를 구할 수 없으며, 경미한 변경은 조합총회 의결 없이 가능하다.

#재개발#이전고시#관리처분계획#변경

생활법률

재개발 완료! 내 집은 언제 받나요? 이전고시 완벽 정리!

재개발/재건축 아파트는 이전고시 다음 날부터 소유권이 이전되며, 기존 권리관계는 유지되고 사업시행자는 지체 없이 등기를 촉탁/신청해야 한다.

#재개발#재건축#아파트#이전고시

일반행정판례

재개발조합 변경인가와 관련된 법적 분쟁 해설

재개발조합의 설립 변경인가를 둘러싼 분쟁에서, 법원은 변경인가 이후 후속 절차가 진행된 경우 이전 변경인가 취소에도 소의 이익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신고사항을 변경인가 형식으로 처리한 경우에도 총회 의결 등 적법한 절차를 거쳐야 하며, 조합원의 비용 부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정관 변경은 법률에서 정한 의결 정족수를 지켜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재개발조합#변경인가#소의이익#신고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