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7.06.15

세무판례

재건축 아파트 양도, 부동산? 분양권? 세금은 어떻게?

재건축 아파트를 팔 때, 내가 판 것이 **낡은 아파트(부동산)**인지, 아니면 새 아파트를 받을 **권리(분양권)**인지에 따라 세금이 달라집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바탕으로, 재건축 아파트 양도와 관련된 세금 문제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사례: 재건축 조합원 A씨는 사업계획승인은 받았지만, 아직 관리처분계획 인가 전이고, 기존 아파트도 철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의 낡은 아파트를 팔았습니다. A씨는 이를 "부동산" 양도로 보고 세금 신고를 했지만, 세무서는 "분양권" 양도로 보아 세금을 더 내라고 합니다. 과연 누구의 말이 맞을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A씨가 판 것은 **"분양권"**이라고 판결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재건축 사업은 복잡한 절차를 거칩니다. 사업계획승인 이후에도 관리처분계획 인가, 기존 아파트 철거, 새 아파트 건설 등 여러 단계가 남아있죠. 핵심은 사업계획승인입니다. 사업계획승인이 나면, 조합원은 낡은 아파트 대신 새 아파트를 받을 권리를 확보하게 됩니다. 즉, A씨의 낡은 아파트는 새 아파트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즉 분양권으로 변한 것입니다. 아직 기존 아파트가 그대로 있고, 철거도 되지 않았어도, 사업계획승인이 났다면 이미 법적으로는 분양권으로 바뀐 것입니다.

세금 계산의 차이: 부동산과 분양권은 세금 계산 방식이 다릅니다. 부동산 양도는 실제 취득가액과 양도가액의 차이를 계산하지만, 분양권 양도는 실제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합니다. 이 사례에서는 A씨가 분양권을 양도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관련 법조항:

  • 구 소득세법(2002. 12. 18. 법률 제67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4조 제1항 제2호 (가)목 :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 구 주택건설촉진법(2003. 5. 29. 법률 제6916호 주택법으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33조(현행 주택법 제16조 참조): 사업계획승인

핵심 정리:

  • 재건축 아파트 양도시 사업계획승인 이후에는 낡은 아파트가 아니라 분양권을 양도한 것으로 봅니다.
  • 분양권 양도는 실제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합니다.

재건축 아파트 양도는 세금 계산이 복잡하므로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세금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법적인 자문이 아닙니다. 구체적인 세금 문제는 세무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재개발 아파트 분양권, 뭘까요? 세금은 어떻게 내야 할까요?

재개발로 새 아파트를 분양받을 권리(분양권)는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로 보아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한다는 판결. 기존 땅이나 건물의 양도로 보지 않는다.

#재개발#분양권#부동산 취득 권리#양도소득세

세무판례

재개발 아파트 양도세 계산, 땅과 건물 따로따로?

재개발로 받은 아파트를 팔 때 양도소득세 계산의 기준이 되는 취득시기는 아파트의 토지와 건물 부분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토지는 원래 땅을 취득한 날, 건물은 재개발 조합에 추가분담금(청산금)을 완납한 날이 취득시기입니다.

#재개발#아파트#양도차익#취득시기

세무판례

재건축 아파트 양도세, 보유기간 계산 어떻게 할까요?

재건축 조합원의 수분양권을 사서(양수) 아파트가 완공된 후 이를 다시 파는 경우, 양도소득세 계산 시 보유기간은 **수분양권을 산 날이 아닌, 완공된 아파트를 받은 날부터 계산**한다.

#재건축#수분양권#양도소득세#보유기간

세무판례

재건축 아파트 분양권과 관련된 세금, 땅 면적으로 계산해야 할까? 아파트 면적으로 계산해야 할까?

낡은 주택을 허물고 새 아파트를 짓는 재건축 사업에서, 분양권을 사면서 기존 낡은 주택의 땅 지분도 함께 취득할 경우, 취득세는 실제로 취득한 땅 지분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며, 농어촌특별세는 면제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재건축 분양권#토지 취득세#농어촌특별세 비과세#지분 면적 기준

세무판례

재개발 아파트 분양권, 양도소득세 납부 대상일까?

재개발 아파트 분양권은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로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이며, 그 취득 시기는 관리처분계획 인가·고시일이다. 단, 이 판례에서는 관리처분계획 인가 *전*에 분양권을 양도한 경우이므로 토지 및 건물의 양도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재개발#분양권#양도소득세#관리처분계획

세무판례

재개발 분양권 양도차익, 어떻게 계산할까요? (토지/건물 매입비용 공제 여부)

재개발 지역 내 토지와 건물을 매입해서 얻은 분양권을 팔 때, 토지와 건물 매입 비용을 분양권 취득 가격으로 인정하여 양도소득세 계산 시 공제받을 수 없다.

#재개발#분양권#양도차익#토지 매입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