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코로나19 이후 재택·원격근무가 많이 보편화되었죠? 우리 회사도 도입해볼까 고민 중인 사업주분들 많으실 텐데요. 비용 부담 때문에 망설이고 계셨다면, 고용노동부의 재택·원격근무 인프라 구축비 지원 제도를 주목하세요! 회사는 지원금 받고, 직원들은 더 편하게 일할 수 있는 1석 2조의 기회! 지금 바로 알아볼까요?
💰 왜 지원해주는 걸까요?
고용노동부는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고 근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재택·원격근무를 도입하는 기업에 인프라 구축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고용장려금 지원제도』, 2019. 1., 78쪽 참조)
✅ 누가 지원받을 수 있나요? (지원 요건)
지원금을 받으려면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고용창출장려금·고용안정장려금의 신청 및 지급에 관한 규정」(고용노동부고시 제2024-31호, 2024. 7. 1. 발령·시행) 제22조)
💻 무엇을 지원해주나요? (지원 대상)
재택·원격근무, 그리고 근무혁신 이행 및 유연근무 활용을 위해 직접 설치하거나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프로그램·시설·장비 중 심사위원회가 일·가정 양립 환경개선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항목을 지원합니다. (「고용창출장려금·고용안정장려금의 신청 및 지급에 관한 규정」 제23조제1항 및 별표 9 참조)
❌ 지원하지 않는 항목: PC, 노트북 등 통신장비, 건물·토지 구입·임차 비용
📝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 절차)
재택·원격근무 도입, 더 이상 망설이지 마세요! 고용노동부의 지원금으로 스마트하게 시작해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 가까운 고용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법률
중증장애인을 재택근무로 신규 채용하는 사업주에게 작업 장비 구입·설치·수리 비용을 최대 3천만 원까지 지원(1인당 최대 3백만 원)하는 정부 제도가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 문의하면 된다.
생활법률
정부는 기업의 유연근무제(선택, 재택, 원격, 시차출퇴근) 도입을 지원하며, 조건 충족 시 최대 연 520만원의 간접노무비를 지원한다.
생활법률
우선지원대상기업 사업주는 직원의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체인력 채용, 업무분담자 지정 시 정부로부터 고용안정장려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재택근무의 정의, 적합 직종, 근로시간/임금/비용 등 관련 규정을 정리한 완벽 가이드.
생활법률
재택근무(원격근무)는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위성 사무실형과 이동형으로 나뉘며, 근로자의 권리(주휴일, 연차, 수당 등)는 사무실 근무와 동일하게 보장된다.
생활법률
기간제 근로자 정규직 전환 시 고용안정장려금, 단시간 근로자 신규 고용 시 워라밸일자리 장려금 등 정부 지원금을 활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