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간제 근로자와 단시간 근로자를 위한 정부 지원 제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알짜배기 정보만 쏙쏙 골라서 쉽게 설명해 드릴 테니, 꼼꼼히 읽어보시고 혜택 꼭 받아 가세요!
기간제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기업에게 정부가 지원금을 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고용안정장려금 제도를 통해 기업의 부담을 덜고, 근로자의 고용 안정을 돕고 있습니다. (고용보험법 제25조제1항제3호,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35조제5호가목, 고용창출장려금·고용안정장려금의 신청 및 지급에 관한 규정(고용노동부고시 제2024-31호))
누가 지원받을 수 있나요?
지원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지원 인원에는 제한이 있나요?
워라밸일자리 장려금
가족돌봄, 본인 건강, 은퇴 준비, 학업 등의 사유로 근로시간 단축을 원하는 근로자와 이를 허용하는 기업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하나요?
지원금은 얼마인가요?
시간선택제 신규고용 지원
실업자를 시간제 근로자로 새롭게 고용하는 사업주에게 고용창출장려금을 지원합니다. (고용보험법 제20조,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17조제1항제3호) 자세한 내용은 관련 사이트를 참조하세요.
이처럼 정부는 다양한 제도를 통해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혜택 놓치지 마세요!
생활법률
기간제 근로자는 정해진 기간 동안, 단시간 근로자는 통상 근로자보다 짧은 시간 동안 근무하는 근로자이며, 5인 이상 사업장은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법을 적용받고, 4인 이하 사업장에도 일부 규정이 적용된다.
생활법률
우선지원대상기업 사업주는 직원의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체인력 채용, 업무분담자 지정 시 정부로부터 고용안정장려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정부는 기업의 유연근무제(선택, 재택, 원격, 시차출퇴근) 도입을 지원하며, 조건 충족 시 최대 연 520만원의 간접노무비를 지원한다.
생활법률
정년 연장/폐지/재고용 등 계속고용제도를 도입한 중소·중견기업은 고령 근로자 1인당 월 최대 30만원씩 3년간 지원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워킹맘&워킹대디를 위한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체인력, 업무분담 지원금 제도가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생활법률
기간제 근로는 원칙적으로 2년(상시 4인 이하 사업장 제외)까지만 가능하지만, 사업 완료, 휴직자 대체 등 법률상 예외 사유에 해당하거나, 2년을 초과하여 근무했는데 예외 사유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