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기간제·단시간 근로자를 위한 정부지원 꿀팁! 알고 계셨나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간제 근로자와 단시간 근로자를 위한 정부 지원 제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알짜배기 정보만 쏙쏙 골라서 쉽게 설명해 드릴 테니,  꼼꼼히 읽어보시고 혜택 꼭 받아 가세요!

1.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지원

기간제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기업에게 정부가 지원금을 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고용안정장려금 제도를 통해 기업의 부담을 덜고, 근로자의 고용 안정을 돕고 있습니다. (고용보험법 제25조제1항제3호,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35조제5호가목, 고용창출장려금·고용안정장려금의 신청 및 지급에 관한 규정(고용노동부고시 제2024-31호))

누가 지원받을 수 있나요?

  • 우선지원대상기업 및 중견기업이 대상입니다.
  • 6개월 이상 2년 이하 고용한 기간제, 파견, 사내하도급 근로자 또는 6개월 이상 상시적으로 노무를 제공한 특수형태업무종사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1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해야 합니다.
  • 기간제법 및 파견법에 따른 사용기간 제한 예외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2년 초과 근로자도 지원 가능합니다.
  • 정규직 전환 후 임금은 최저임금 이상이어야 하며,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지원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 정규직 전환 다음 달부터 1년간 3개월 단위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 근속기간에 따라 일할 계산).
  • 임금 증가분이 20만원 이상이면 월 50만원(임금증가액 보전금 20만원 + 간접노무비 30만원), 20만원 미만이면 월 30만원(간접노무비 30만원)을 지원받습니다.
  • 최초 채용 시 일자리 창출 지원금을 받은 근로자는 간접노무비가 지원되지 않고 임금증가액 보전금(20만원)만 지급됩니다.

지원 인원에는 제한이 있나요?

  • 파견·사내하도급 근로자 및 특수형태업무종사자 전환은 지원 인원에 제한이 없습니다.
  • 기간제 근로자 전환은 사업 참여 신청서 제출일 직전년도 말일 기준 전체 피보험자수의 30%(최대 100명)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 5인 이상 10인 미만 사업장은 최대 3명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2. 단시간 근로자를 위한 지원

워라밸일자리 장려금

가족돌봄, 본인 건강, 은퇴 준비, 학업 등의 사유로 근로시간 단축을 원하는 근로자와 이를 허용하는 기업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 우선지원대상기업 및 중견기업
  • 근로시간 단축 개시일 이전 6개월간 주 3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
  • 단축 후 주 15시간~30시간 근무하는 근로자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하나요?

  • 근로시간 단축 제도 도입·운영에 관한 규정 마련 (취업규칙, 단체협약, 인사규정 등)
  • 전자·기계적 방식 출퇴근 관리 (지문인식, 전자카드 등)
  • 월 출퇴근 기록 누락 3일 초과, 월 연장근로 10시간 초과 시 해당 월 지원금 미지급
  • 근로시간 단축 기간 최소 1개월 이상, 연장근로 금지

지원금은 얼마인가요?

  • 간접노무비: 월 30만원 (정액)
  • 임금감소액보전금: 월 20만원 (정액)

시간선택제 신규고용 지원

실업자를 시간제 근로자로 새롭게 고용하는 사업주에게 고용창출장려금을 지원합니다. (고용보험법 제20조,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17조제1항제3호) 자세한 내용은 관련 사이트를 참조하세요.

이처럼 정부는 다양한 제도를 통해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혜택 놓치지 마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기간제? 단시간? 내 권리는 뭘까? 알기 쉬운 근로계약 해설!

기간제 근로자는 정해진 기간 동안, 단시간 근로자는 통상 근로자보다 짧은 시간 동안 근무하는 근로자이며, 5인 이상 사업장은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법을 적용받고, 4인 이하 사업장에도 일부 규정이 적용된다.

#기간제근로자#단시간근로자#통상근로자#소정근로시간

생활법률

육아휴직? 육아기 단축근무? 걱정 마세요! 고용안정장려금 지원받으세요! (feat. 법조항)

우선지원대상기업 사업주는 직원의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체인력 채용, 업무분담자 지정 시 정부로부터 고용안정장려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대체인력 채용#업무분담자 지정

생활법률

우리 회사도 유연근무 도입하고 정부 지원금 받자! (유연근무제 간접노무비 지원)

정부는 기업의 유연근무제(선택, 재택, 원격, 시차출퇴근) 도입을 지원하며, 조건 충족 시 최대 연 520만원의 간접노무비를 지원한다.

#유연근무제#간접노무비#지원#선택근무제

생활법률

우리 회사, 정년 연장하고 지원금도 받자!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완벽 정리!

정년 연장/폐지/재고용 등 계속고용제도를 도입한 중소·중견기업은 고령 근로자 1인당 월 최대 30만원씩 3년간 지원받을 수 있다.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정년 연장#정년 폐지#재고용

생활법률

육아휴직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싹쓸이 꿀팁! (고용보험법 기반)

워킹맘&워킹대디를 위한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체인력, 업무분담 지원금 제도가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육아휴직 지원금#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대체인력 지원금#육아기 단축업무 분담지원금

생활법률

기간제 근로, 2년 넘게 일할 수 있을까? 알기 쉬운 기간제 근로 가이드!

기간제 근로는 원칙적으로 2년(상시 4인 이하 사업장 제외)까지만 가능하지만, 사업 완료, 휴직자 대체 등 법률상 예외 사유에 해당하거나, 2년을 초과하여 근무했는데 예외 사유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간주된다.

#기간제 근로#2년#예외#기간제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