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1.02.25

특허판례

적외선 가열 조리기 특허권 침해 분쟁, 대법원 판결 파기 환송!

최근 적외선 가열 조리기 관련 특허권 침해 분쟁에서 대법원이 특허법원의 판결을 뒤집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은 "상부 가열식 원적외선 가열 조리기"를 제조·판매하는 회사(확인대상 발명)가 "적외선 가열 조리기" 특허를 보유한 회사(특허발명)의 특허권을 침해했는지 여부를 다투는 소송이었습니다.

핵심 쟁점은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였습니다. 특허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려면 먼저 특허의 보호 범위를 정확히 확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특허 문서에 기재된 청구범위의 문언을 해석하고, 발명의 설명과 도면을 참작하여 특허발명의 구성요소와 그 결합관계를 파악해야 합니다 (특허법 제97조, 제135조 제2항). 대법원은 이러한 권리범위 판단 기준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대법원 2019. 1. 31. 선고 2017후424 판결).

특허법원은 확인대상 발명의 '축공'이 특허발명의 '축공'에 대응되지 않는다는 이유 등으로 특허권 침해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러한 특허법원의 판단을 오류로 보았습니다.

대법원은 확인대상 발명의 '축공과 축돌기'가 특허발명의 '축공과 축돌기'에 기능적으로 대응되고,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발명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그 유기적 결합관계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허발명의 회전팬을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핵심 기능이 확인대상 발명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된다는 점을 중요하게 보았습니다. 확인대상 발명에 존재하는 '다각축'과 '다각홈'은 단지 모터의 동력을 회전팬에 전달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요소일 뿐, 특허발명의 핵심 구성과 결합관계를 변경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대법원은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특허법원의 판결을 파기 환송했습니다. 이번 판결은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특허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와 그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전열기구 온도조절장치, 유사 고안은 권리침해일까?

새로운 발열체 전력제어회로가 기존에 등록된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비록 일부 부품이 다르더라도 전체적인 기술 구성과 작동 원리가 유사하다면 기존 고안의 권리범위를 침해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발열체#전력제어회로#특허침해#고안

민사판례

특허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균등침해와 그 판단 기준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똑같이 만들지 않았더라도 비슷하게 만들어 특허의 핵심 아이디어를 베꼈다면 침해로 볼 수 있는데, 이를 "균등침해"라고 합니다. 이 판례는 균등침해가 성립하기 위한 세부적인 조건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허침해#균등침해#과제해결원리#작용효과

특허판례

X선 발생장치 특허, 그 복잡한 권리범위 다툼 이야기

X선 발생장치 특허의 권리범위 확인심판에 대한 소송에서, 특허가 무효로 확정되거나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 청구항의 구성과 다를 경우 특허권 침해가 아니라는 판결.

#X선 발생장치#특허권#권리범위확인심판#특허 무효

특허판례

특허권 침해라고 주장하려면, 제대로 된 발명을 걸고 넘어져야 합니다!

특허권자가 자신의 특허 권리범위를 확인해달라는 소송을 낼 때, 상대방이 실제로 사용 중인 제품과 소송에서 다투는 제품이 서로 다르면 소송을 할 실익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특허권 침해#확인의 이익#권리범위확인심판#실제 사용 제품

특허판례

LED 등기구 특허, 넓게 보호받을 수 있을까?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특허 명세서의 청구범위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특허의 핵심 기술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면서 일부 구성이 변경된 경우에도 침해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을 추가한 경우에도 침해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특허권 침해#청구범위 해석#균등 침해#동일 과제 해결 원리

특허판례

특허권 침해 여부 판단, 내 발명은 보호받을 수 있을까? - 확인대상발명의 특정

특허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청구하려면, 확인대상발명(내 특허가 침해했다고 주장하는 상대방의 발명)이 심판 대상 특허발명과 비교 가능할 정도로 구체적으로 설명되어야 합니다. 특히 기능적 표현으로 설명된 경우, 전문가가 그 기술적 의미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히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특허권리범위확인심판#확인대상발명#특정요건#기능적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