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2.12.15

민사판례

조정에 기반한 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다면? 관할 법원을 확인하세요!

돈을 빌려주거나 물건을 판 후 약속대로 돈을 받지 못하면 법원의 판결이나 조정을 통해 강제집행을 할 수 있습니다. 이때 법원에서 발급하는 '집행문'이 필요한데요, 이 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는 경우 어떤 법원에 소송을 제기해야 할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집행문이란 무엇일까요?

집행문은 확정된 판결이나 조정 등에 따라 강제집행을 할 수 있도록 법원이 발급하는 문서입니다. 쉽게 말해, 강제집행의 '허가증'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집행문 부여에 이의를 제기하는 경우는 언제일까요?

예를 들어, 판결에 조건이 붙어 있는데 그 조건이 아직 충족되지 않았음에도 집행문이 부여되었거나, 채권자가 바뀌었는데 엉뚱한 사람에게 집행문이 부여된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부당하게 집행문이 부여되었다고 생각되면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법원에 이의를 제기해야 할까요?

일반적인 판결의 경우, **'제1심 판결법원'**에 이의를 제기해야 합니다. 제1심 판결법원이란 해당 사건에 대해 처음 판결을 내린 법원을 말합니다. (민사집행법 제44조 제1항, 제45조) 대법원은 이러한 관할이 '전속관할'이라고 판시했습니다. 즉, 다른 법원에서는 이 사건을 심리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대법원 2017. 4. 7. 선고 2013다80627 판결, 대법원 2017. 6. 29. 선고 2015다208344 판결)

조정의 경우는 어떨까요?

조정도 판결과 마찬가지로 집행권원이 될 수 있습니다. (민사집행법 제56조 제5호, 제57조, 민사조정법 제29조) 만약 지방법원 합의부에서 조정이 성립되었고, 이에 기반한 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다면 해당 조정을 진행한 지방법원 합의부에 이의를 제기해야 합니다. 이 또한 전속관할입니다. (대법원 2019. 10. 18. 선고 2019다231953 판결, 대법원 2021. 3. 11. 선고 2020다270992 판결)

강제집행 정지 신청은 어디에 해야 할까요?

집행문 부여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더라도 강제집행은 일단 진행됩니다. (민사집행법 제46조 제1항) 강제집행을 막으려면 법원에 **'강제집행 정지'**를 신청해야 하는데, 이는 집행문 부여에 대한 이의 소송을 진행하는 법원에 신청해야 합니다. (즉, 위에서 설명한 '제1심 판결법원' 또는 '조정을 진행한 지방법원 합의부')

정리하자면,

  • 판결에 기반한 집행문 부여 이의: 제1심 판결법원 (전속관할)
  • 조정에 기반한 집행문 부여 이의: 조정을 진행한 지방법원 합의부 (전속관할)
  • 강제집행 정지 신청: 집행문 부여 이의 소송을 진행하는 법원 (전속관할)

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는 경우, 정확한 관할 법원을 확인하여 권리를 보호받으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집행문 부여 이의신청, 아무 이유로나 항고할 순 없어요!

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어 신청했는데 법원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경우, 단순히 법률을 위반했다는 주장만으로는 특별항고를 할 수 없다.

#집행문#이의신청#기각#특별항고

민사판례

집행문 부여에 대한 이의, 어떻게 다툴 수 있을까요?

판결 확정 후 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을 경우, 어떤 방법으로 불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 즉시항고나 집행이의가 아닌 특별항고를 해야 합니다.

#집행문부여이의#특별항고#불복방법#즉시항고불가

민사판례

집행문 부여 이의 소송, 어떤 법원에 제기해야 할까?

돈을 받기 위해 판결문에 집행문을 부여받았는데, 채무자가 이에 이의가 있다면 최초 판결을 내린 1심 법원(합의부면 합의부, 단독부면 단독부)에 이의를 제기해야 합니다. 다른 법원에 제기하면 잘못된 것입니다.

#집행문부여이의소#1심법원#전속관할#관할위반

민사판례

승계집행문 부여에 대한 이의는 어디에 제기해야 할까요?

합의부에서 판결한 사건에 대한 승계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다면, 해당 판결을 내린 합의부에 이의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단독판사가 아닌 합의부에 제기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승계집행문#이의소송#합의부#관할

민사판례

집행문 일부만 받을 수 있을까?

법원이 집행문을 내어줄 때, 돈을 받을 권리의 일부만 인정되는 경우에는 정확히 어느 부분까지 받을 수 있는지 집행문에 명확히 써야 한다.

#집행문#부여범위#특정#금액명시

민사판례

집행문이 잘못 발급됐다면? 제3자 이의의 소 & 집행문 부여에 대한 이의

법원이 실수로 A에게 돈을 갚으라는 판결의 집행문을 A와 관련 없는 B에게 발급했을 때, B는 어떤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에 대한 판례입니다. B는 제3자이의의 소가 아닌 집행문부여에 대한 이의신청을 해야 합니다.

#집행문#제3자이의의소#집행문부여이의신청#잘못된집행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