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종교시설의 무허가 증축과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허가 없이 건물을 증축하고 기반시설까지 설치한 사건인데요, 이 경우 죄가 여러 개인지, 하나인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관할관청의 허가 없이 종교시설 건물을 증축하고, 기반시설까지 설치했습니다. 이는 건축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모두 위반한 행위입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피고인의 행위가 여러 개의 죄에 해당하는지(실체적 경합), 아니면 하나의 죄에 해당하는지(상상적 경합)였습니다. 원심은 여러 개의 죄, 즉 실체적 경합이라고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다르게 보았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피고인의 행위, 즉 '건물 증축'이라는 하나의 행위가 두 개의 법률(건축법, 국토계획법)을 위반한 것으로 보아 상상적 경합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쉽게 말해, 하나의 행동으로 여러 개의 법을 어겼지만, 본질적으로는 하나의 잘못이라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한 번의 돌팔매질로 두 개의 유리창을 깨뜨린 것과 같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판결의 의미
비록 원심은 실체적 경합으로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상상적 경합이 맞다고 정정했습니다. 다만, 이 사건에서는 상상적 경합이냐 실체적 경합이냐에 따라 최종적인 형량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피고인은 다른 죄(업무상 횡령)도 저질렀는데, 이 죄의 형량이 더 무거웠고, 경합범 가중 처벌 시에도 업무상 횡령죄의 형량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이 잘못되었지만, 최종 판결 결과에는 영향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이 사건은 하나의 행위가 여러 법률을 위반했을 때, 어떻게 죄를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축과 관련된 법 위반 사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형사판례
건물을 허가 없이 증축하면서 높이 제한도 위반한 경우, 이는 하나의 행위로 판단하여 한 번만 처벌해야 합니다.
형사판례
건물에 딸린 주차장 용도를 허가 없이 바꾸면 주차장법 위반과 건축법 위반으로 처벌받는데, 이 두 가지 위반은 별개의 죄로 취급되어 동시에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상상적 경합)
형사판례
건축 허가 없이 지은 건물의 여러 세대를 각각 다른 사람에게 임대했더라도, 이는 여러 개의 죄가 아니라 하나의 죄로 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일반행정판례
공원 안에 있는 기존 종교시설을 증축하려면 공원관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여기서 '종교시설'이란 건축법상의 분류와 상관없이 실제로 종교 활동에 쓰이는 시설을 의미한다는 판결입니다.
일반행정판례
허가 없이 증축한 부분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건물에 대한 철거 명령은, 비록 개인에게 손해를 끼치더라도 건축행정의 원활한 수행과 불법 건축 예방이라는 공익이 더 크기 때문에 정당하다.
형사판례
경제자유구역 내에서 허가 없이 개발행위를 한 경우, 국토계획법 위반과 경제자유구역법 위반은 별개의 죄로 처벌받는다. 하나의 행위가 여러 법률을 위반한 것처럼 보이더라도, 법의 목적과 보호하려는 가치, 구성요건 등이 다르면 각각 따로 처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