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중국산 고춧가루를 국산으로 속여 수출하다 적발된 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사건은 원산지증명서를 허위로 작성하여 수출한 행위가 대외무역법 위반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남겼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의 대표이사 B는 중국에서 수입한 마른 고추를 단순 가공하여 고춧가루를 만들었습니다. 이 고춧가루는 당연히 중국산이지만, B는 원산지를 대한민국으로 표시한 가짜 원산지증명서를 만들어 수출 서류에 첨부했습니다. 이 서류는 거래 은행을 거쳐 최종적으로 수입업자에게 전달되었습니다.
쟁점
B의 이러한 행위가 과연 불법일까요? B는 원산지를 제품에 직접 표시한 것이 아니라, 단지 원산지증명서만 허위로 작성했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과연 이 주장이 받아들여질 수 있을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B의 행위가 구 대외무역법 제38조(현행 대외무역법 제53조의2 제4호 참조) 위반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대외무역법 제38조는 외국산 물품을 국산으로 속여 수출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법원은 B가 직접 제품에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았더라도, 허위 원산지증명서를 통해 수입업자를 속인 것은 마찬가지이므로 법 위반이라고 본 것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은 논리를 제시했습니다.
결론
결국 대법원은 B의 상고를 기각하고 유죄를 확정했습니다 (청주지법 2009. 8. 12. 선고 2009노588 판결). 이 판례는 원산지증명서를 허위로 작성하는 행위만으로도 대외무역법 위반이 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수출입 과정에서 원산지 표시는 매우 중요하며, 정직하고 투명하게 거래해야 함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사례입니다.
형사판례
수출할 의사 없이 단순히 다른 목적(수출쿼터 회피 목적의 원산지증명서 발급 등)을 위해 허위로 수출 신고를 한 경우, 실제 수출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관세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동일한 과학적 분석기법을 사용했지만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온 경우, 법원은 어떤 증거를 믿을 수 있는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단순히 처음 나온 결과만 믿어서는 안 되고, 결과가 다른 이유를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형사판례
중국산 참조기를 국산으로 속여 판매한 굴비 유통업체 관련 사건에서, 대법원은 원산지 표시 위반은 인정했지만 사기죄에 대해서는 피해액 산정 및 피해자 특정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사기죄 부분을 파기환송했습니다.
형사판례
중국에서 만든 바이올린 반제품을 수입하여 국내에서 추가적인 제조공정을 거쳐 완제품으로 만들었을 때, 수입 당시 반제품에 붙어있던 "Made in China" 표시를 가리더라도 원산지 표시 위반이 아니다.
형사판례
수출용 원재료에 대한 관세를 부정한 방법으로 환급받은 경우, 환급액에 따라 가중처벌하는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이 적용되는가? (적용된다)
형사판례
고춧가루에 별도로 고추씨를 넣어 만든 후 판매한 행위는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가중처벌 대상이 된다는 대법원 판결. 단순히 향신료가공품을 만들어 표시하지 않은 것과는 다르게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