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6.11

세무판례

증여받은 부동산, 나중에 소유권 분쟁 생겨도 증여세는 내야 할까?

아버지로부터 부동산을 증여받아 기쁘게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쳤는데, 갑자기 다른 사람이 소유권을 주장하며 소송을 걸어온다면? 설상가상으로 소송에서 패소하여 등기까지 말소해야 한다면? 이런 상황에서 이미 납부한 증여세는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아버지로부터 부동산을 증여받고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쳤습니다. 그런데 제3자가 원고 명의의 등기가 무효라며 소송을 제기했고, 원고는 결국 패소하여 등기가 말소되었습니다. 문제는 원고가 부동산을 증여받고 등기를 마친 후, 소송이 진행되는 중에 세무서로부터 증여세를 부과받았다는 점입니다. 원고는 등기가 말소되었으니 증여세를 돌려달라고 주장했지만, 세무서는 이를 거부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세무서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증여를 원인으로 부동산 소유권 이전 등기가 적법하게 마쳐졌다면, 그 등기를 한 시점에 증여세 납부 의무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나중에 등기가 말소되는 등의 사유가 발생하더라도, 이미 발생한 증여세 납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등기가 유효하게 존재했던 기간 동안의 증여에 대한 세금은 납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9조의2

(내용 생략 - 실제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해당 조항 내용을 추가해야 합니다. 하지만 질문에서 해당 조항의 내용을 제공하지 않았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핵심 정리

증여받은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 등기가 적법하게 마쳐졌다면, 나중에 그 등기가 원인무효라는 판결이 확정되더라도 이미 부과된 증여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등기가 유효했던 시점에 증여세 납부 의무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동산 증여를 받을 때에는 신중하게 판단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 가능성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부동산 증여 받았는데, 소송으로 등기 말소되면 증여세 안 내도 될까?

부동산을 증여받고 소유권 이전 등기까지 마쳤다면, 나중에 증여자가 소송을 통해 소유권을 되찾더라도 이미 발생한 증여세 납부 의무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부동산#증여#소유권반환#증여세

세무판례

증여받은 부동산, 나중에 소유권 잃어도 증여세는 내야 할까?

증여로 받은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 등기가 나중에 법원에서 원인 무효라고 판결되더라도, 이미 부과된 증여세는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원인무효#소유권이전#등기

세무판례

증여받은 재산, 돌려줬으면 증여세 안 내도 될까?

증여로 재산을 넘겨준 후 법원 판결로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말소했더라도, 세금 부과 전에 증여 계약을 해지했다면 증여세를 낼 필요가 없다.

#증여세#등기말소#증여계약해지#과세

세무판례

증여세와 등기, 그 복잡한 관계

등기는 증여로 되어 있지만 실제 증여가 없었다면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 증여 여부를 제대로 판단하지 않고 증여세를 부과한 원심 판결을 파기 환송한다.

#증여세#부과처분#원인무효#등기

세무판례

증여세 납부, 등기 말소되었다고 돌려받을 수 있을까?

증여세를 부과받은 후 증여계약을 해제하고 소유권을 원래대로 돌려놓더라도 이미 부과된 증여세는 납부해야 한다.

#증여세#증여계약해제#납부의무#부과시점

세무판례

증여받았다가 돌려줬는데 증여세를 내야 할까요?

증여계약을 맺고 재산 소유권을 이전했더라도, 세무서에서 증여세를 부과하기 *전에* 증여계약을 해제하고 소유권 이전 등기를 취소하면 증여세를 낼 필요가 없다.

#증여계약 해제#증여세 부과#위법#소유권 이전 등기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