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05.16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의원 의정비 심의, 주민 의견 얼마나 반영해야 할까?

지방의회 의원들에게는 의정활동비, 여비, 월정수당 등이 지급됩니다. 이러한 의정비는 주민들의 세금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결정 과정이 투명하고 합리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겠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방자치단체 의정비심의위원회가 주민 의견을 어느 정도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 쟁점은 두 가지였습니다. 첫째, 의정비심의위원회가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가? 둘째, 주민 의견이나 여론조사 결과와 심의 결과가 다를 경우, 그 결정은 위법한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주민 의견 수렴, 어떻게 해야 할까?

구 지방자치법 시행령 제34조 제6항은 의정비심의위원회가 의정비 상한액을 결정할 때 공청회, 주민의견 조사 등 주민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절차를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의견을 수렴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없습니다.

대법원은 이 조항의 취지가 의정비 결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주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도록 한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즉,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 자체를 거쳤다면, 그 방식이 다소 미흡하더라도 위법하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죠. (관련 판례: 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1두7489 판결)

주민 의견과 심의 결과가 다르면 위법일까?

심의위원회가 주민 의견을 수렴했더라도, 최종 결정된 의정비가 주민 의견이나 여론조사 결과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그 결정이 위법한 것일까요?

대법원은 심의위원회가 의정비 상한액을 결정할 때 주민의 정서나 여론조사 결과에 완전히 부합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심의위원회는 지역의 재정 능력, 물가상승률, 지방공무원 보수인상률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죠. 주민 의견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위법하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2012. 7. 26. 선고 2010두13524 판결)

결론적으로, 의정비 심의 과정에서 주민 의견 수렴은 중요하지만, 심의위원회는 법령에 정해진 기준과 절차를 따르면서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입니다. 주민 의견을 형식적으로만 수렴하거나, 합리적인 이유 없이 주민 의견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겠지만, 단순히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위법은 아니라는 것이죠.

참고 조문:

  • 구 지방자치법(2009. 4. 1. 법률 제95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3조
  • 구 지방자치법 시행령(2008. 10. 8. 대통령령 제2107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3조 제1항, 제34조 제6항

이번 판례를 통해 지방의회 의정비 심의 과정에서 주민 의견 수렴의 의미와 한계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되었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의원 의정비, 주민 정서와 다르다고 무조건 위법일까?

지방의회 의원에게 지급되는 의정비 결정을 위한 심의위원회 구성이나 주민 의견 수렴 절차가 법령을 완벽하게 따르지 않았더라도, 그 절차상 하자가 심의위원회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심각하게 훼손하지 않았다면 의정비 결정은 유효하다.

#지방의회#의정비#심의위원회#절차적 하자

일반행정판례

우리 동네 구의원 월급, 너무 많이 올랐다고 위법인가요?

지방자치단체의 의정비심의위원회가 법적 절차를 지켜 의원들의 의정활동비 등의 상한액을 결정했다면, 그 결정이 주민 정서나 여론조사 결과와 다르더라도 위법하지 않다는 대법원 판결.

#의정비#위법성#주민정서#대법원

생활법률

우리 동네, 내가 바꾼다! 주민참여로 더 나은 지방자치 만들기

주민들은 투표, 조례 제정·개폐 청구, 감사 청구, 소송, 소환 등의 방법으로 지방 정치에 참여하여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주민#정치 참여#주민투표#주민조례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너의 권한은 어디까지니? - 지방의회의 집행기관 견제 권한에 대한 고찰

지방의회가 조례로 새로운 견제장치를 만들어 집행기관(시장)의 권한을 침해할 수는 없지만, 민간위탁 심사위원회 위원 구성 등 운영에 관한 사항은 조례로 정할 수 있다.

#지방의회#조례#제정권#민간위탁

형사판례

지방의회 의원의 업무추진비, 어디까지 쓸 수 있을까?

지방의회의원이 업무추진비로 음식물을 제공한 행위가 선거법 위반인지, 특히 사회상규에 부합하는 정당한 직무 활동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령과 조례에 명시적인 규정이 없는 경우에도, 의정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업무추진비 사용은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아 위법성이 없을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지방의회#업무추진비#선거법 위반#기부행위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조례 제정, 어디까지 허용될까?

경상북도의회가 만든 조례안 중 공무원 비밀유지 의무 관련 조항, 증인 동행명령 조항, 형벌 조항이 위헌 및 위법으로 무효 판결.

#경상북도의회#조례안#무효#공무원 비밀유지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