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05.12

형사판례

지방의회 의원들의 직무집행 방해 사건

오늘은 지방의회에서 일어난 공무집행방해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군수 불신임 결의안을 둘러싸고 군청 직원들이 의회 의원들의 회의 진행을 물리적으로 방해한 사건입니다.

사건의 개요

부안군수와 내무과장은 군의회에서 군수 불신임 결의안이 채택되는 것을 막기 위해 군청 직원들을 동원했습니다. 직원들은 의회 의원들이 본회의장에 들어가는 것을 막고, 소회의실에서의 의사진행도 방해했습니다. 이에 대해 의원들은 공무집행방해죄 등으로 고소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쟁점에 대해 판단했습니다.

  1. 의원들의 직무집행의 적법성: 비록 지방자치법상 지방의회에 군수 불신임 권한이 없더라도, 적법한 절차에 따라 소집된 회의에서 의사진행을 하는 것은 적법한 직무집행입니다. 따라서 군수 불신임 결의안 자체의 효력 유무와 관계없이 의원들의 회의 참석 및 의사진행은 보호받아야 할 직무행위입니다.

  2. 폭행의 범위: 공무집행방해죄에서의 '폭행'은 직접적인 유형력 행사뿐 아니라 간접적인 유형력 행사도 포함합니다. 직원들이 의원들의 회의장 진입을 막은 행위는 간접적인 유형력 행사로 볼 수 있으므로, 공무집행방해죄의 폭행에 해당합니다.

  3. 공무 외 집단행위: 군청 직원들이 군수의 지시에 따라 의회 의원들의 직무집행을 방해한 것은 공무원의 본분에 배치되는 '공무 외의 일을 위한 집단행위' (지방공무원법 제58조 제1항)에 해당합니다.

  4. 주거침입죄와 특수주거침입죄의 관계: 단체 또는 다중의 위력을 사용하여 주거침입죄를 저지른 경우에는 형법 제320조(주거침입죄) 대신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특수주거침입죄)이 적용됩니다. 직원들이 다수의 위력으로 소회의실에 침입한 행위는 특수주거침입죄에 해당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136조 (공무집행방해)
  • 지방공무원법 제58조 제1항 (집단행위의 금지)
  • 형법 제319조 (주거침입, 퇴거불응)
  •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특수주거침입, 퇴거불응)
  • 대법원 1992. 3. 27. 선고 91누9145 판결

결론

이 판결은 지방의회 의원들의 직무집행이 보호받아야 할 공무이며, 설사 그 직무집행의 내용에 문제가 있더라도 적법한 절차에 따른 회의 진행 자체는 방해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명확히 했습니다. 또한, 공무 외 집단행위의 개념과 공무집행방해죄에서의 폭행의 범위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국회 방호원 폭행, 공무집행방해죄일까?

공무원의 직무집행이 적법하지 않을 경우, 그 직무집행에 저항하여 폭행이나 협박을 하더라도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할 수 없다.

#적법성#공무집행방해#저항#무죄

형사판례

공무집행방해죄, 그 적법성에 대하여

법외 노조가 점유하던 시청 사무실에 대한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공무원에게 폭력을 행사한 것은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하지만, 이로 인한 상처가 경미하여 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법외노조#행정대집행#공무집행방해#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

형사판례

구청 사무실 점거 농성, 공무집행방해죄 인정될까?

법외 노조가 구청 사무실을 불법 점거하여 사용하자 구청이 행정대집행을 통해 퇴거를 시도했는데, 노조원들이 이를 방해하여 공무집행방해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례.

#법외노조#구청#사무실#불법점거

형사판례

공무원의 공무 방해, 업무방해죄로 처벌할 수 있을까?

공무원의 공무집행을 방해하는 행위에 업무방해죄를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 다수의견은 업무방해죄 적용을 부정했지만, 반대의견은 공무도 업무에 포함된다며 적용을 긍정했습니다.

#공무집행방해#업무방해죄#대법원#공무

형사판례

공무원 노조 사무실 강제 폐쇄, 정당한가? - 행정대집행과 공무집행방해

법외 단체인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 지부가 군청 사무실을 불법 점거하자, 군수가 행정대집행을 실시했는데, 이 과정에서 조합원들이 폭력을 행사하여 공무집행방해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또한, 대집행을 저지하기 위해 집단으로 연가를 낸 행위도 지방공무원법 위반으로 인정되었습니다.

#전공노#군청사#불법점거#공무집행방해

형사판례

지방의회 의장 선거 담합, 공무집행방해죄일까?

지방의회 의원들이 의장 선거 전에 특정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투표용지 기표 위치를 미리 정해놓은 행위는, 비밀투표 원칙에 어긋나더라도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할 수 없다.

#지방의회#의장 선거#사전 투표 위치 합의#공무집행방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