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2.02.11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탈퇴 시 추가 비용 부담, 과연 정당할까?

지역주택조합 아파트에 관심을 가져본 분들이라면 조합 탈퇴 시 발생하는 비용 문제에 대해 고민해보셨을 겁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탈퇴 조합원에게 부과되는 비용의 범위에 대한 중요한 기준이 제시되었습니다.

핵심 내용

이번 판결의 핵심은 조합 탈퇴나 제명으로 조합원 지위를 잃은 사람에게 '지위 상실 이후' 발생한 비용을 부담시킬 수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조합 규약, 총회 결의, 조합과 조합원 간 약정 등으로 미리 정해둔 경우에는 비용 부담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추가 비용을 부담시킬 수 없습니다.

판결의 배경

지역주택조합 가입 후 조합원 자격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탈퇴, 제명된 조합원들에게 조합이 탈퇴 이후 발생한 비용까지 부담시키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법적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토지 취득세, 신탁등기 해지 비용 등 상당한 금액이 탈퇴 조합원에게 부과되면서 논란이 되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조합 규약이나 총회 결의, 조합과 조합원 간의 약정 등으로 미리 비용 부담에 대한 합의가 없었다면 탈퇴 조합원에게 지위 상실 이후 발생한 비용을 부담시킬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탈퇴 시점 이전에 발생 원인이 있더라도 실제 지출이 탈퇴 이후라면 부담시킬 수 없다는 것입니다.

조합 가입 시 주의사항

이번 판결은 지역주택조합 가입 시 규약, 총회 결의, 조합과의 약정 내용을 꼼꼼히 확인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탈퇴 시 비용 부담과 관련된 조항을 명확히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합의를 통해 자신의 권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주택법 제2조 제11호 (가)목: 지역주택조합의 정의
  • 구 주택법(2015. 7. 24. 법률 제1343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조 제5항(현행 제11조 제7항 참조): 조합원의 자격 및 자격 상실
  • 구 주택법 시행령(2016. 8. 11. 대통령령 제27444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38조 제1항 제1호(현행 제21조 제1항 제1호 참조): 조합원 자격 상실 사유

결론

이번 대법원 판결은 지역주택조합 탈퇴 조합원의 권리 보호를 강화하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조합 가입을 고려하는 분들은 물론이고, 이미 조합원으로 활동 중인 분들도 이번 판결 내용을 숙지하여 불필요한 비용 부담을 피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탈퇴와 부담금 납부 의무

지역주택조합 가입 후 조합원 자격을 갖추지 못했거나 상실한 경우, 언제부터 조합 부담금 납부 의무가 면제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조합 설립 인가 신청일 전까지 자격 미달이거나, 이후 자격을 상실한 경우, 그 시점 이후 발생하는 부담금은 납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지역주택조합#조합원 자격#부담금 납부 의무#조합 설립 인가 신청일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탈퇴와 부담금, 알쏭달쏭 궁금증 해결!

지역주택조합 가입 시 조합원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조합과 통정하여 가입한 것이 아니라면 가입계약 자체는 무효가 아니다. 다만, 자격 미달 조합원은 자격 요건을 갖춰야 하는 시점(주택조합설립인가신청일) 이후 발생하는 부담금은 낼 필요가 없지만, 그 이전에 발생한 부담금은 내야 한다.

#지역주택조합#조합원 자격#부담금#단속규정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탈퇴 후 추가 부담금, 내야 할까요?

지역주택조합 가입 후 조합원 자격을 잃게 되면, 자격 상실 *이후* 발생하는 부담금은 낼 필요가 없다는 대법원 판결.

#지역주택조합#탈퇴#부담금#면제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탈퇴 시 분담금 반환, 언제 받을 수 있을까?

지역주택조합 가입 계약서에 탈퇴 시 분담금 반환을 대체 가입자 확보 후로 미루는 조항이 있다면, 이 조항은 무효일까요? 대법원은 해당 조항이 부당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결했습니다.

#지역주택조합#탈퇴#분담금 반환#약관 효력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가입, 마음 바꿨다고 쉽게 탈퇴할 수 있을까?

지역주택조합 가입 시 사업계획 변경 가능성을 알고 가입했다면, 예측 가능한 범위 내의 변경으로는 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

#지역주택조합#계약해제#사업계획변경#예측가능성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조합원 자격 상실, 조합의 해지 없이도 가능할까?

지역주택조합 조합원이 세대주 자격을 잃으면 조합 측의 별도 해지 절차 없이도 자동으로 조합원 자격을 상실한다.

#지역주택조합#조합원 자격 상실#세대주 자격#조합 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