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06.01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과의 분쟁, 꼭 알아야 할 법적 포인트!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내 집 마련의 꿈을 안고 가입했지만 사업 지연, 추가 분담금 발생 등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는 분들 많으시죠?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지역주택조합과 관련된 중요한 법적 쟁점들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기에, 일반인 분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조합 총회 의결의 중요성: 예산 외 지출은 안돼요!

지역주택조합은 조합원들의 자금으로 운영됩니다. 따라서 중요한 계약, 특히 조합원들에게 추가적인 금전적 부담을 지우는 계약은 조합원들의 의견을 모아 결정해야 합니다. 주택법 시행령 제20조 제3항, 주택법 시행규칙 제7조 제5항 제3호는 조합 총회 의결 사항으로 '예산으로 정한 사항 외에 조합원에게 부담이 될 계약의 체결'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예산에 없는 지출은 조합원 총회의 동의 없이는 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이번 대법원 판결(2022. 12. 15. 선고 2022다275212 판결 등)은 이러한 총회 의결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조합과 계약을 체결한 상대방이라도, 조합이 총회 의결을 거치지 않은 사실을 몰랐다는 등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그 계약의 효력을 주장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즉, 조합과 계약할 때는 총회 의결을 거쳤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2. 사업계획 변경, 감수해야 할 부분일까?

지역주택조합 사업은 인허가 과정, 시공사 선정 등 여러 변수에 따라 사업계획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조합원들의 권리·의무에도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조합원은 사업계획 변경을 무조건 감수해야 할까요?

대법원 판결(2022. 5. 12. 선고 2021다286116 판결 등)에 따르면, 조합원은 가입 당시 사업계획 등이 변경될 수 있음을 전제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사업계획 변경이 예측 가능한 범위 내라면, 이를 이유로 계약 해지를 주장할 수는 없습니다. 단, 사업계획 변경이 예측 가능한 범위를 넘어선 경우라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분쟁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서

지역주택조합 사업은 복잡하고 변수가 많아 분쟁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관련 법령과 판례를 잘 이해하고, 조합 측과 충분히 소통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면 원만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대법원 판례들은 2011. 4. 28. 선고 2010다105112 판결, 2019. 11. 14. 선고 2018다212467 판결, 2022. 8. 25. 선고 2021다231734 판결 등 참고하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택법 제2조 제11호 (가)목, 민법 제543조, 제546조 등 관련 법 조항도 꼼꼼히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4. 핵심 정리

  • 조합원에게 추가 부담이 되는 계약은 총회 의결 필수! (주택법 시행령 제20조 제3항, 주택법 시행규칙 제7조 제5항 제3호)
  • 예측 가능한 범위 내의 사업계획 변경은 감수해야 할 수도 있음.
  • 관련 법령과 판례를 이해하고, 조합과 소통하는 것이 중요!

이 글이 지역주택조합 사업에 참여하고 계시거나 참여를 고려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총회 의결 없는 계약, 효력 있을까?

지역주택조합이 조합원에게 금전적 부담을 지우는 계약을 체결할 때, 법으로 정해진 총회 의결을 거치지 않으면 그 계약은 원칙적으로 효력이 없다. 계약 상대방이 절차상 하자를 몰랐다는 특별한 사정을 입증하지 못하면 계약의 효력을 주장할 수 없다.

#지역주택조합#총회 의결#계약 효력#무효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보증계약, 총회 의결 없으면 무효?

지역주택조합이 조합원에게 부담이 되는 계약(예: 보증)을 체결할 때는 법에 따라 총회 의결을 거쳐야 합니다. 만약 총회 의결 없이 계약이 체결되었다면, 계약 상대방이 그 사실을 몰랐다는 특별한 사정을 입증하지 못하는 한 계약은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지역주택조합#총회 의결#보증계약#무효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과 계약할 때, 총회 의결 확인은 필수!

지역주택조합과 계약할 때 조합원에게 추가 부담이 생기는 계약은 조합 총회의결이 필수! 계약 상대방이 이를 몰랐다고 해도, 정당한 사유 없다면 계약 효력 주장 어려워.

#지역주택조합#계약#총회의결#효력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가입, 마음 바꿨다고 쉽게 탈퇴할 수 있을까?

지역주택조합 가입 시 사업계획 변경 가능성을 알고 가입했다면, 예측 가능한 범위 내의 변경으로는 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

#지역주택조합#계약해제#사업계획변경#예측가능성

민사판례

재건축조합 예산, 총회 결의 없이 맘대로 쓰면 안 돼요!

재건축조합이 조합원 총회의 결의 없이 조합원에게 비용 부담이 되는 계약을 체결하면 그 계약은 무효입니다. 계약 상대방이 이 사실을 몰랐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재건축조합#총회결의#계약무효#비용부담

민사판례

재건축조합 예산, 총회 의결 없이는 한 푼도 함부로 쓸 수 없다!

재건축조합이 조합원 총회 의결 없이 예산에 없는 지출을 발생시키는 계약을 하면 그 계약은 무효입니다. 예비비라도 예산으로 정해진 범위를 넘어서면 총회 의결이 필요합니다.

#재건축조합#예산 외 지출#총회 의결#계약 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