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직원에서 임원 승진? 퇴직금, 언제 받고 시효는 언제부터?

20년 동안 회사에 헌신했는데, 퇴직금은 언제 받을 수 있을까요? 직원에서 임원으로 승진하면 퇴직금 계산이 좀 복잡해집니다. 오늘은 승진과 퇴직금, 그리고 중요한 소멸시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직원에서 임원 승진, 퇴직금은?

일반적으로 회사를 퇴직해야 퇴직금을 받습니다. 그런데 직원에서 임원으로 승진하는 경우, 퇴직금 지급 시점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핵심은 **'진짜 임원'**인지, 아니면 **'이름만 임원'**인지입니다.

1. 진짜 임원: 경영에 참여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가지는 진짜 임원이라면, 직원에서 임원으로 된 시점에 근로관계가 종료됩니다. 따라서 이때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나중에 임원직을 그만둘 때 퇴직금을 준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안내입니다.

2. 이름만 임원: 명칭만 이사일 뿐, 실제로는 사용자의 지시를 받고 종속적인 관계에서 일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진짜 임원이 아니기 때문에 근로자로 보호받고, 임원직에서 퇴직하는 시점에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 소멸시효, 언제부터 시작될까?

퇴직금을 받을 권리에도 유효기간이 있습니다. 퇴직금 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입니다. 일반 채권(10년)보다 훨씬 짧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소멸시효는 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는 날부터 시작됩니다.

  • 진짜 임원: 직원에서 임원이 된 날부터 3년
  • 이름만 임원: 임원직에서 퇴직한 날부터 3년

관련 판례: (임금 68200-814, 2001. 11. 27.)

명칭만 이사일 뿐 사용자와 종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사실상 근로자의 지위를 갖는 경우, 근로자로 보아 임원직에서 퇴직한 날을 기준으로 퇴직금 지급 청구권이 발생하고, 소멸시효도 그때부터 시작된다는 판례가 있습니다. 자신의 상황이 어떤 경우에 해당하는지 꼼꼼히 따져보고 퇴직금을 제때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 정리!

  • 진짜 임원: 직원 -> 임원 승진 시점에 퇴직금 발생, 소멸시효 시작
  • 이름만 임원: 임원직 퇴직 시점에 퇴직금 발생, 소멸시효 시작
  • 퇴직금 소멸시효: 3년

승진을 축하드립니다! 하지만 퇴직금에 대한 권리도 꼼꼼히 확인하여 정당한 몫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퇴직금,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요? - 소멸시효 완전정복!

퇴직금 소멸시효는 퇴사 후 3년이며, 내용증명 발송, 합의, 소송 제기 등으로 시효를 중단시킬 수 있다.

#퇴직금#소멸시효#3년#중단

생활법률

퇴직금, 3년 안에 꼭 챙기세요! 소멸시효 완전 정복!

퇴직 후 3년 안에 퇴직금을 청구해야 하며, 기간 만료 시 소멸시효로 받을 수 없으므로 청구, 압류, 승인 등으로 시효를 중단시켜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

#퇴직금#소멸시효#3년#퇴직일 다음날

상담사례

5년 전 퇴직금, 지금이라도 받을 수 있을까요? 😥

퇴직금 소멸시효는 퇴직 후 3년이므로, 5년 전 퇴직금은 특별한 사정(소송, 회사의 지급 약속 등)이 없는 한 받기 어렵다.

#퇴직금#소멸시효#3년#청구

상담사례

교도소 복역 중에도 퇴직금 시효는 흘러간다?! 3년의 카운트다운, 시작은 언제일까?

퇴직금 청구 소멸시효는 복역 여부와 관계없이 퇴직 다음 날부터 3년이다.

#퇴직금#소멸시효#3년#퇴직 다음 날

생활법률

퇴직금, 똑똑하게 알고 받자! 완벽 가이드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퇴직 시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14일 이내에 받을 권리가 있으며, 지급 지연 시 연 20%의 이자가 발생하고, 절반은 압류되지 않으며, 3년 안에 청구해야 하고, 회사 도산 시 우선 변제되며, 퇴직금 수령 후에도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가능하다.

#퇴직금#지급요건#산정#지급

민사판례

중간퇴직과 퇴직금, 알쏭달쏭한 부분 정리해드립니다!

자발적 중간퇴직은 유효하며, 중간퇴직금과 최종퇴직금은 별개의 청구권으로 각각 소멸시효가 진행된다. 최초 입사일부터 최종 퇴직일까지의 퇴직금을 청구했더라도, 중간퇴직이 확인되면 중간퇴직금 청구도 포함된 것으로 본다.

#중간퇴직#퇴직금#소멸시효#청구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