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04.10

민사판례

진짜 상속인과 가짜 상속인이 주장하는 피상속인이 다르면 상속회복청구소송이 될까?

상속 문제는 언제나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특히 누가 진짜 상속인인지 다툼이 생기는 경우는 더욱 그렇죠. 오늘은 진짜 상속인과 가짜 상속인이 서로 다른 사람을 피상속인으로 주장하는 경우 상속회복청구소송이 가능한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들은 돌아가신 아버지로부터 땅을 상속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친척인 소외 2는 원고들의 아버지가 아니라 다른 사람으로부터 땅을 상속받았다는 서류를 만들어 자기 앞으로 등기를 해버렸고, 그 후 피고들에게 땅을 넘겼습니다. 원고들은 자기들의 상속권을 침해한 소외 2와 그로부터 땅을 받은 피고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의 판단

1심과 2심 법원은 원고들의 소송을 상속회복청구소송으로 보았습니다. 상속회복청구소송은 진짜 상속인이 가짜 상속인으로부터 상속재산을 되찾기 위한 소송입니다. 법원은 신민법 시행 전 관습법에 따라 상속이 개시된 날로부터 20년이 지나면 상속회복청구를 할 수 없다는 제척기간 규정을 적용하여 원고들의 소송을 각하했습니다. 원고들이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20년이 훨씬 지나서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대법원은 1심과 2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은 상속회복청구소송은 진짜 상속인과 가짜 상속인이 같은 사람을 피상속인으로 주장해야 성립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서로 다른 사람을 피상속인이라고 주장하면 상속회복청구소송이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들은 소외 2가 자기 아버지의 가짜 상속인이라고 주장한 것이 아니라, 아예 관련 없는 사람으로부터 땅을 상속받았다는 허위 서류를 만들어 등기를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이 소송은 상속회복청구소송이 아니라, 허위 서류에 기초한 등기를 말소해달라는 일반적인 소유권이전등기말소청구소송이라는 것입니다.

소외 2는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따른 절차를 이용해 등기를 했는데, 이 법은 사실상 땅을 양도받거나 상속받은 사람이 쉽게 등기를 할 수 있도록 만든 특별법입니다. 하지만 소외 2는 원고들 아버지의 상속인이라는 서류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상속인이라는 서류를 제출하여 등기를 했기 때문에, 이 등기는 원인무효라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적용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999조 (상속회복청구권) 진정한 상속인은 상속재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점유한 자에 대하여 상속으로 인한 소유권을 주장하여 그 재산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 제7조 (등기신청)
  • 대법원 1994. 4. 15. 선고 94다798 판결
  • 대법원 1995. 4. 14. 선고 93다5840 판결
  • 대법원 1995. 7. 11. 선고 95다9945 판결

결론

진짜 상속인과 가짜 상속인이 주장하는 피상속인이 다르면 상속회복청구소송이 아닙니다. 이 경우 소송의 성격과 적용되는 법리가 달라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이 사건처럼 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라도 허위 서류에 기초한 것이라면 원인무효로 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진짜 상속인과 가짜 상속인이 말하는 조상이 다르면 상속회복청구소송이 될까?

진정한 상속인과 가짜 상속인이 주장하는 피상속인(돌아가신 분)이 서로 다른 사람이라면, 진정한 상속인이라고 하더라도 상속회복청구소송을 할 수 없다.

#상속회복청구소송#피상속인#진정상속인#참칭상속인

민사판례

진짜 상속인과 가짜 상속인이 주장하는 피상속인이 동명이인일 경우, 상속회복청구소송이 가능할까?

진짜 상속인과 가짜 상속인이 주장하는 피상속인이 이름만 같고 다른 사람인 경우, 상속회복청구소송을 할 수 없다.

#동명이인#상속#상속회복청구소송#상속권

민사판례

진짜 상속인이라면, 상속재산 돌려받는 소송은 '상속회복청구소송'!

진짜 상속인이 다른 상속인을 상대로 상속재산의 반환을 요구하는 소송은, 그 소송의 형태나 이유와 관계없이 상속회복청구소송으로 봐야 한다.

#상속회복청구소송#상속재산반환#제척기간#민법 제999조

민사판례

상속, 진짜 주인을 찾아서! 상속회복청구에 대한 모든 것

이 판례는 진짜 상속인이 가짜 상속인이나 그로부터 재산을 받은 제3자를 상대로 상속재산을 되찾기 위해 소송을 제기할 때, 소송의 종류, 소멸시효 기간 계산, 계모자 관계에서의 상속 등에 대한 법리를 다룹니다.

#상속회복청구#소멸시효#계모자 관계#대습상속

민사판례

상속, 제대로 알고 받으세요! 진짜 상속인의 권리 찾기

진짜 상속인이 상속재산을 돌려달라고 소송을 제기할 때, 그 소송은 형식에 관계없이 '상속회복청구 소송'으로 봐야 한다. 또한, 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기간(제척기간)이 지난 후에 소송을 제기하면 법원은 소송을 받아들이지 않고 각하해야 하는데, 만약 법원이 각하하지 않고 기각하더라도 그 판결은 본안에 대한 판단이 아니므로 나중에 다시 소송을 제기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속회복청구#제척기간#기각#각하

민사판례

상속회복청구, 아무 데나 쓸 수 있는 게 아니에요!

공동상속인 간 상속재산 명의신탁이 부동산실명법에 따라 무효가 된 경우, 명의수탁자를 상대로 한 소유권 반환 청구는 상속회복청구가 아니다.

#상속재산#명의신탁#무효#상속회복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