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수리 맡겨보신 적 있으시죠? 수리 맡긴 동안 차가 사고라도 나면 누구 책임일까요? 오늘은 차량 수리 중 발생한 사고에 대한 책임 소재를 다룬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차량 소유주(피고)는 차량을 수리업자에게 맡겼습니다. 그런데 수리 기간 동안 해당 차량으로 인해 교통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원고는 차량 소유주에게도 사고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특히 수리업소가 무허가였고, 차주가 수리가 끝나고 이틀이나 지나 차를 찾아가지 않았다는 점을 문제 삼았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차량 소유주에게 책임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차량 수리를 위해 차를 수리업자에게 맡기면, 수리 기간 동안 차량 운행에 대한 지배권은 수리업자에게 있다는 것입니다. 수리업소가 무허가이거나, 차주가 차를 늦게 찾아간 사실만으로는 차주의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차량 소유주가 수리 완료 후 이틀 뒤에 차를 찾아간 행위와 사고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차량을 수리 맡긴 동안 발생한 사고는 일반적으로 수리업자의 책임입니다. 수리업소가 무허가이거나 차주가 차를 늦게 찾아갔더라도, 그것만으로 차주에게 사고 책임을 묻기는 어렵다는 것이 이 판례의 핵심입니다. 차량 수리와 관련된 분쟁 발생 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민사판례
차량 수리 중 시운전을 겸하여 수리 의뢰인의 부탁으로 다른 용무를 보던 중 사고가 발생했을 때, 수리업자뿐만 아니라 차량 소유자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본 판례입니다.
민사판례
자동차 수리 의뢰 후 수리 중 사고가 발생했을 때,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수리업자가 운행지배 책임을 진다. 차주가 수리 과정을 지켜보지 않았거나, 수리 장소 근처에 있었다는 사정만으로 차주에게 운행지배 책임을 물을 수 없다.
민사판례
차량 수리를 위해 정비소 직원이 차를 가져가 수리 후 돌려주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차주에게 운행지배권이 있다고 인정되어 차주가 사고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
상담사례
차 수리 후 정비소 직원의 시운전 사고로 인한 사망 사고 발생 시, 차주는 수리 과정에 관여하지 않았다면 책임이 없고, 운행지배권을 가진 정비소 사장과 사고 당사자인 직원이 책임을 진다.
민사판례
차량 수리 의뢰 후 수리업자가 시운전 중 사고를 낸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운행지배 책임은 차량 소유자가 아닌 수리업자에게 있다.
민사판례
차량 수리 의뢰 후에도 차주 측 직원이 수리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시동까지 걸어준 경우, 차주와 수리업자 모두에게 차량 운행지배권이 있다고 판단하여 사고 책임을 공동으로 부담하게 한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