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꿈꾸는 청춘 여러분, 자취방 구하기 너무 힘드시죠? 치솟는 월세에 보증금까지... 생각만 해도 한숨이 나오는 현실입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마세요! 정부와 지자체에서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청년기본법
제20조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는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오늘은 흩어져 있는 정보들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1. 청년 전세임대 주택: 내가 원하는 집을 전세로!
2. 행복주택: 교통 편리한 곳에 저렴하게!
3. 서울시 특별 지원!
역세권 청년주택: 역세권에 위치한 저렴한 임대주택! (공공/민간 협력)
청년월세지원: 매달 월세를 지원해주는 제도!
4.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2022년~2023년)
자, 이제 청년 주거지원 정책, 어렵지 않죠? 자신에게 맞는 정책을 잘 활용해서 주거 걱정 없이 꿈을 향해 나아가세요! 더 자세한 내용은 마이홈 포털(www.myhome.g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화이팅!
생활법률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 한부모/유자녀 가정은 LH가 전세계약을 대신해주고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 가능한 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Ⅰ/Ⅱ형)을 소득/자산 기준에 따라 최대 20년/14년까지 이용할 수 있다.
생활법률
정부는 주택 구입(디딤돌 대출, 보금자리론 등) 및 전·월세 자금 대출(버팀목 전세자금, 청년 전용 대출 등)을 지원하며, 지자체별 추가 지원 사업도 운영 중이니, 마이홈(www.myhome.go.kr)과 주택도시기금(nhuf.molit.go.kr)에서 확인하세요.
생활법률
공공분양을 통해 소유권 이전이 가능한 주택과, 다양한 유형의 공공임대주택 및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을 통해 저렴하고 안정적인 주거를 지원하는 공공주택 제도를 통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다.
생활법률
무주택 한부모 가정은 국민주택 우선 분양, 공공임대주택 특별공급, 장기공공임대주택 임대료 지원 등의 주거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주거 안정을 위해 국가·지자체 등이 지원하는 공공임대주택(영구·국민·행복·통합공공·장기전세·분양전환·매입·전세임대) 종류와 지원 대상, '마이홈' 홈페이지를 통한 추가 정보 확인 방법을 안내합니다.
생활법률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43% 이하인 저소득 가구에게 임차료(월세) 또는 자가 주택 수리비(수선유지비)를 지원하는 주거급여 제도를 소개하며,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신청 방법 등을 자세히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