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주거지원 정책 총정리! 🏠

안녕하세요! 꿈꾸는 청춘 여러분, 자취방 구하기 너무 힘드시죠? 치솟는 월세에 보증금까지... 생각만 해도 한숨이 나오는 현실입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마세요! 정부와 지자체에서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청년기본법 제20조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는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오늘은 흩어져 있는 정보들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1. 청년 전세임대 주택: 내가 원하는 집을 전세로!

  • 뭐야 뭐야?: LH에서 전세 계약을 대신 해주고, 저렴한 임대료로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내가 원하는 집을 골라 LH에 신청하면 LH가 집주인과 전세 계약을 맺고 나에게 재임대하는 방식입니다.
  • 누구누구?: 만 19세~39세의 대학생, 취업준비생 (단, 미혼 무주택자만 가능!)
  • 얼마얼마?: 수도권 1억 2천만원, 광역시 9천5백만원, 그 외 지역 8천5백만원까지 지원 (1인 기준, 전용면적 60㎡ 이하)
  • 기간기간?: 최초 2년 계약, 최대 3회 연장 가능 (최장 6년 거주 가능, 단 졸업/취업 후 재계약 불가)
  • 어떻게?: LH 청약센터 홈페이지(www.apply.lh.or.kr)에서 온라인 신청

2. 행복주택: 교통 편리한 곳에 저렴하게!

  • 뭐야 뭐야?: 직장, 학교 근처 등 교통이 편리한 곳에 위치한 저렴한 공공임대주택!
  • 누구누구?: 본인 및 부모 월평균 소득 합계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인 대학생, 취업준비생 (미혼 무주택자)
  • 얼마얼마?: 시중 시세의 60~80%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 (전용면적 60㎡ 이하)
  • 기간기간?: 2년 단위 계약, 대학생 최장 6년 거주 가능
  • 어떻게?: LH 청약센터 홈페이지(www.apply.lh.or.kr) 온라인 신청 또는 사업주체 지정 장소 방문 신청

3. 서울시 특별 지원!

  • 역세권 청년주택: 역세권에 위치한 저렴한 임대주택! (공공/민간 협력)

    • 누구누구?: 만 19세~39세 무주택 청년, 신혼부부 (소득, 자산 기준 충족 필요)
    • 어떻게?: SH공사 홈페이지(www.i-sh.co.kr) 또는 민간사업자 접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홈페이지 www.youth2030.co.kr 참고)
  • 청년월세지원: 매달 월세를 지원해주는 제도!

    • 누구누구?: 서울시 거주 만 19세~39세 무주택 청년 (보증금 5천만원 이하, 월세 60만원 이하,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1인 가구)
    • 얼마얼마?: 월 20만원씩 최대 10개월, 총 200만원 지원 (단, 실제 월세가 20만원 미만인 경우 실제 금액만 지원)
    • 어떻게?: 서울주거 포털(www.housing.seoul.go.kr) 온라인 신청 (필요 서류 지참)

4.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2022년~2023년)

  • 뭐야 뭐야?: 코로나19 등 경제 위기 상황에서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한시적 지원 사업!
  • 누구누구?: 부모와 떨어져 사는 만 19세~34세 무주택 청년 (보증금 5천만원 이하, 월세 60만원 이하, 본인 및 원가구 소득/재산 기준 충족 필요)
  • 얼마얼마?: 월 최대 20만원씩 최대 12개월 지원 (주거급여 수급자는 차감 후 지급)

자, 이제 청년 주거지원 정책, 어렵지 않죠? 자신에게 맞는 정책을 잘 활용해서 주거 걱정 없이 꿈을 향해 나아가세요! 더 자세한 내용은 마이홈 포털(www.myhome.g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화이팅!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신혼집 마련 걱정? 🏡 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완전 정복!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 한부모/유자녀 가정은 LH가 전세계약을 대신해주고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 가능한 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Ⅰ/Ⅱ형)을 소득/자산 기준에 따라 최대 20년/14년까지 이용할 수 있다.

#신혼부부#전세임대주택#LH#지원대상

생활법률

내 집 마련 & 전월세, 걱정 말고 정부 지원 받으세요! (주택도시기금 & 주택금융공사)

정부는 주택 구입(디딤돌 대출, 보금자리론 등) 및 전·월세 자금 대출(버팀목 전세자금, 청년 전용 대출 등)을 지원하며, 지자체별 추가 지원 사업도 운영 중이니, 마이홈(www.myhome.go.kr)과 주택도시기금(nhuf.molit.go.kr)에서 확인하세요.

#주택구입자금대출#전월세자금대출#지방자치단체주거금융지원#서민주거안정

생활법률

내 집 마련의 꿈, 공공주택과 함께 이뤄보세요!

공공분양을 통해 소유권 이전이 가능한 주택과, 다양한 유형의 공공임대주택 및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을 통해 저렴하고 안정적인 주거를 지원하는 공공주택 제도를 통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다.

#공공주택#공공분양#공공임대#행복주택

생활법률

한부모가정, 주거 걱정 덜어드립니다! 국민주택/임대주택 우선공급 & 임대료 지원 정보

무주택 한부모 가정은 국민주택 우선 분양, 공공임대주택 특별공급, 장기공공임대주택 임대료 지원 등의 주거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부모가정#주거지원#국민주택#우선분양

생활법률

나에게 딱 맞는 공공임대주택, 알아보자!🏡

주거 안정을 위해 국가·지자체 등이 지원하는 공공임대주택(영구·국민·행복·통합공공·장기전세·분양전환·매입·전세임대) 종류와 지원 대상, '마이홈' 홈페이지를 통한 추가 정보 확인 방법을 안내합니다.

#공공임대주택#영구임대주택#국민임대주택#행복주택

생활법률

🏠 월세 걱정 덜어주는 주거급여, 나도 받을 수 있을까?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43% 이하인 저소득 가구에게 임차료(월세) 또는 자가 주택 수리비(수선유지비)를 지원하는 주거급여 제도를 소개하며,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신청 방법 등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주거급여#임차료지원#수선유지비지원#소득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