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아들의 취업을 위해 신원보증을 섰는데, 횡령 사건에 휘말려 3천만 원을 배상하라는 요구를 받고 계신다면 정말 당황스러우실 겁니다. 저도 비슷한 사례를 많이 접하는데요, 오늘은 신원보증의 범위와 책임, 그리고 회사 측의 통지의무 위반 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원보증, 무엇일까요?
신원보증이란 직원(피용자)이 회사(사용자)에 손해를 입혔을 때, 그 손해를 대신 배상하겠다는 약속입니다 (신원보증법 제2조). 친구 아들(甲)이 회사(乙)에서 3천만 원을 횡령한 경우처럼 말이죠.
신원보증인의 책임, 어디까지일까요?
신원보증인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신원보증법이라는 법이 있습니다. 이 법은 신원보증인에게 불리한 특약은 효력이 없다고 규정하고 있어요 (신원보증법 제8조).
직원의 '고의 또는 중과실'에 한정: 신원보증인은 직원이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회사에 손해를 입힌 경우에만 책임을 집니다 (신원보증법 제6조 제1항). 단순 실수는 책임지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죠. 직원이 업무와 관련 없는 사고를 쳐서 회사에 손해를 입힌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업무상 횡령: 이번 사례처럼 직원이 거래처에서 수금한 돈을 횡령한 것은 '업무상 횡령'으로, 고의적인 범죄행위입니다. 따라서 신원보증인에게 배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회사의 통지의무 위반, 면책 사유가 될 수 있을까요?
회사는 직원의 업무 변경 등 신원보증인의 책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항이 생기면 지체 없이 신원보증인에게 알려야 합니다 (신원보증법 제4조). 이를 어기면 신원보증인은 손해배상 책임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신원보증법 제4조 제2항).
질문자님의 경우, 아들(甲)이 인사과에서 영업부로 옮겼다는 사실을 회사(乙)가 알리지 않았습니다. 영업부는 돈을 다루는 부서이므로 횡령 위험이 더 높다고 볼 수 있죠. 만약 회사가 이 사실을 알렸다면 질문자님은 신원보증을 해지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회사의 통지의무 위반을 근거로 손해배상 책임 감면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책임 범위는 어떻게 정해질까요?
법원은 신원보증인의 책임 범위를 정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신원보증법 제6조 제3항).
결론
3천만 원 전액을 배상해야 하는지는 위에 언급된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회사의 통지의무 위반을 근거로 책임 감면을 주장할 수 있으니, 관련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포기하지 마시고 꼭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상담사례
아버지 사망 후 사촌형의 횡령으로 회사가 변제를 요구하지만, 신원보증은 사망과 함께 종료되며, 회사의 통지 의무 위반을 근거로 책임 감경을 요구하고 상속포기/한정승인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생활법률
친구나 가족의 신원보증 요청 시, 최대 2년의 기간 제한, 회사의 업무/근무지 변경 통지 의무, 보증인의 계약 해지 권리, 고의/중과실에 대한 책임 범위, 보증인 사망 시 계약 종료 등 법적 권리와 의무를 숙지하여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민사판례
직원의 불법행위로 손해를 입은 증권회사가 직원과 그의 신원보증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에서, 법원은 사용자(증권회사)의 신원보증인에 대한 통지의무 위반과 직원이 이미 배상한 금액 등을 고려하여 신원보증인의 책임 범위를 제한했습니다. 또한, 증권회사가 이전 소송에서 주장한 내용과 상반되는 주장을 하는 것이 금반언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민사판례
회사 규정상 당연퇴직 사유가 발생해도 회사가 퇴직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근로관계는 유지된다. 또한, 회사는 직원의 비위 사실을 신원보증인에게 알려야 할 의무가 있으며, 만일 이를 어겨 신원보증인이 보증계약을 해지할 기회를 잃었다면 신원보증인의 책임을 묻기 어렵다.
민사판례
회사 직원이 부정대출을 했을 때, 회사는 신원보증인에게 그 사실을 알려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알리지 않아서 신원보증인이 보증 계약을 해지할 기회를 놓쳤다면, 회사는 신원보증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민사판례
신원보증인의 책임은 피보증인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액을 기준으로 하되, 법원은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그 책임 범위를 정해야 합니다. 또한 신원보증채무의 지체책임은 채권자의 이행청구가 있어야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