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싸움에 휘말렸는데, 현장에 있던 내가 경찰에게 친구 대신 다른 사람 이름을 댔다면 어떻게 될까요? 범인도피죄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한 사례에서 피고인은 폭행 현장에 있었습니다. 경찰이 폭행범의 이름을 묻자, 피고인은 친구를 감싸기 위해 가짜 이름을 댔습니다. 그리고 폭행범의 구체적인 인적사항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답했습니다. 검찰은 피고인을 범인도피죄로 기소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피고인에게 범인도피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사기관은 피의자나 참고인의 진술과 관계없이, 객관적인 증거를 수집하고 조사하여 범인을 확정하고 혐의를 입증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따라서 참고인이 침묵하거나 거짓말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범인도피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참고인의 거짓말이 수사기관을 적극적으로 속여서 범인의 발견이나 체포를 어렵게 만들 정도여야 범인도피죄가 성립합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단순히 가짜 이름을 대고, 더 자세한 정보는 모른다고 했을 뿐입니다. 이 정도는 수사기관을 적극적으로 기만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범인도피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입니다.
관련 법조항과 판례
이 판례는 수사기관의 적극적인 수사 의무를 강조하고, 참고인의 단순한 거짓말만으로는 범인도피죄를 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물론 모든 거짓말이 괜찮다는 것은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범인도피죄로 처벌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형사판례
교통사고를 낸 진범 대신 다른 사람이 자수하여 진범의 처벌을 막았다면, 진범이 종합보험에 가입했더라도 범인도피죄가 성립한다.
형사판례
단순히 수사기관에서 범인에 대해 허위 진술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범인도피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수사기관을 적극적으로 속여서 범인의 발견이나 체포를 어렵게 만들 정도가 되어야 범인도피죄로 처벌받습니다.
형사판례
수사기관에서 참고인이 범인에 대해 허위 진술을 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수사기관을 속여 범인의 발견이나 체포를 어렵게 만들 정도가 아니라면 범인도피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타인의 성명을 도용한 음주운전자가 석방될 때 허위 신원보증을 해준 경우, 그 자체만으로는 범인도피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형사판례
단순히 공범의 존재를 숨기기 위해 수사기관에서 허위 진술을 하는 것만으로는 범인도피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범인도피죄가 성립하려면 허위 진술로 인해 수사기관이 적극적으로 기만당하고 착오에 빠져 범인의 발견이나 체포가 어려워져야 한다.
형사판례
자신의 범행을 숨기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허위 자백을 하도록 시키는 것은 범인도피교사죄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