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9.14

특허판례

코롱? 콜론? 내 화장품 상표, 괜찮을까?

화장품 이름 정할 때, 향 좋은 느낌을 주고 싶어서 '코롱'이라는 단어를 넣고 싶으신가요? 그런데 먼저 등록된 상표 때문에 걱정이시라면, 오늘 이 판례를 주목해주세요!

사건의 발단:

태평양화학은 '리도 코롱'이라는 상표를 등록했습니다. 그런데 코오롱상사는 자기들이 쓰는 '코오롱' 상표와 유사하다며 이의를 제기했죠. 과연 '코롱'이라는 단어 때문에 두 상표는 유사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코롱'이라는 단어가 화장품 업계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오 드 콜로뉴(eau de cologne)'라는 향수의 종류를 가리키는 관용적인 표현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쉽게 말해, '코롱'은 특정 회사의 브랜드가 아니라 향수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명칭처럼 쓰인다는 거죠.

이처럼 상표의 일부가 제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보통명칭이나 관용적인 표현일 경우, 그 부분은 상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즉, 상표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때는 이런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비교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코롱'을 제외하고 '리도'와 '코오롱'을 비교했을 때, 두 상표가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태평양화학의 '리도 코롱' 상표는 코오롱상사의 '코오롱' 상표를 침해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핵심 정리:

  • '코롱'은 화장품 업계에서 '오 드 콜로뉴'라는 향수 종류를 가리키는 관용표장.
  • 상표에 보통명칭이나 관용표장이 포함된 경우, 그 부분을 제외하고 유사 여부를 판단해야 함.
  • '리도 코롱'과 '코오롱'은 유사한 상표가 아님.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1항
  • 구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7호
  • 대법원 1990.2.23. 선고 89후193 판결(공1990, 773), 1992.9.14. 선고 91후1267 판결

이 판례는 상표에 보통명칭이나 관용표장이 포함된 경우, 유사 여부를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화장품처럼 특정 성분이나 제품 종류를 나타내는 단어가 흔히 사용되는 분야에서는 이 판례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리도 코롱" 상표, 코오롱과 유사할까? 상표권 분쟁 이야기

태평양화학이 '리도 코롱' 상표를 출원했으나, 기존 '코오롱' 상표와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거절되었습니다. '코롱'이 방향제의 일반명칭이 아니라는 점과 '리도 코롱'에서 '코롱' 부분이 두드러져 소비자가 '코롱'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판결의 주요 근거입니다.

#리도 코롱#코오롱#상표 유사#소비자 혼동

특허판례

캐논 vs. 캐론, 상표권 분쟁의 승자는?

카메라 회사 '캐논(Canon)'과 향수 회사 '까롱(CARON)'의 상표는 서로 유사하지 않다는 대법원 판결. 외국 판결이 국내 상표 유사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도 확인.

#캐논#CARON#상표#유사성

특허판례

'마리 프랑스' 상표, '마리끌레르'와 유사할까?

'Marie France' 상표는 기존에 등록된 'MARIE-CLAIRE + 마리끌레르'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두 상표 모두 'Marie' 부분으로 불릴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를 혼동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 판결의 핵심입니다.

#상표#Marie France#MARIE-CLAIRE#마리끌레르

특허판례

'오데로세' vs '로샤스' 향수, 이름 때문에 헷갈릴까? 상표권 분쟁 이야기

'EAU DE ROCHE, 오데로세'라는 상표와 'ROCHAS', 'EAU DE ROCHAS'라는 상표는 외관, 의미, 발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서로 유사하지 않아,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염려가 없다는 대법원 판결.

#상표#유사#EAU DE ROCHE#ROCHAS

특허판례

향수 이름에 '당근(CARROT)'? 안 돼요!

'당근'을 뜻하는 "CARROT"은 향수, 방향제 등의 상품에 상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비자들이 당근 성분이 들어있다고 오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CARROT#상표#향수#방향제

특허판례

향기로운 분쟁, 향 관련 상표는 모두 같을까?

같은 '향'이라는 글자가 들어가도, 화장품 향료와 제사용 향은 상품의 용도와 판매처 등이 달라 유사상표로 보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丹花#상표#유사상표#향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