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0.03.16

민사판례

토지 분할 후 등기 경정, 대법원 판결 파기 환송!

안녕하세요. 오늘은 토지 분할과 판결 경정에 대한 중요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소송 진행 중 토지가 분할되었는데 판결에 반영되지 않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번 판결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소유권이전등기 청구 소송 중 소송 대상 토지가 분할되었지만, 원고는 청구취지 변경 없이 소송을 진행했습니다. 결국 법원은 분할 전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명하는 판결을 선고했고, 이 판결은 확정되었습니다. 이후 원고는 분할된 토지에 맞춰 판결 내용을 고쳐달라고 경정신청을 했지만, 원심은 이를 기각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 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환송했습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판결 경정의 취지 (민사소송법 제211조): 판결 경정은 판결의 내용을 실질적으로 바꾸지 않고, 표현상의 오류나 계산 착오 등을 고치는 것입니다. 이는 강제집행이나 등기 등에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 경정 사유: 법원의 실수뿐 아니라 당사자의 청구 잘못도 경정 사유가 됩니다. 이 경우 소송 기록과 판결 후 제출된 자료까지 참고해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토지 분할과 경정: 소송 중 토지가 분할되었는데 판결에 반영되지 않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경정을 해줘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원고의 잘못된 청구로 판결에 분할 전 토지가 표시되었고, 이는 명백한 오류였습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경정 신청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특별항고와 헌법 위반

원심이 경정 신청을 기각한 것은 판결 경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것이고, 이는 헌법상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헌법 제27조)를 침해한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민사소송법 제449조 제1항에 따른 특별항고가 허용되었습니다. 특별항고는 일반적으로 불복할 수 없는 결정에 대해서는 할 수 없지만, 헌법 위반이 있는 경우 예외적으로 허용됩니다. 이 경우, 단순히 판결이 잘못되었다는 주장만으로는 부족하고, 자료 제출 기회를 박탈당했거나, 판결의 잘못이 명백한데도 법원이 이를 무시한 경우 등이 있어야 합니다. (대법원 2004. 6. 25.자 2003그136 결정 참조)

핵심 참고 판례

  • 판결 경정: 대법원 2000. 5. 24.자 98마1839 결정
  • 토지 분할과 경정: 대법원 2001. 10. 19.자 2001마4618 결정
  • 특별항고: 대법원 2004. 6. 25.자 2003그136 결정

결론

이번 판결은 소송 중 토지 분할 시 판결 경정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토지 관련 소송 진행 중 토지가 분할되었다면, 분할된 내용을 법원에 알리고 판결에 반영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혹시라도 판결에 분할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면 적극적으로 경정 신청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등기부 누락으로 인한 토지 소유권 판결 경정, 대법원 불허

땅 소유권 이전 소송에서 원고가 실수로 일부 토지를 누락했는데, 확정된 판결 이후 누락된 토지를 추가해달라는 경정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이지 않은 사례입니다. 판결 경정은 단순 오류 수정만 가능하며, 판결의 내용을 실질적으로 바꿀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판결경정#토지누락#청구취지#실질적변경

민사판례

토지 분할 판결 후 경정 신청,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유

토지 분할 소송에서 감정 결과가 잘못되었더라도, 판결 이후 단순히 면적 변경을 요청하는 경정 신청은 판결의 핵심 내용을 바꾸는 것이므로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판결 경정 신청 기각 결정에 불복하려면 특별항고를 해야 한다.

#공유물분할#판결경정#기각#특별항고

민사판례

판결 경정 신청, 어디로 해야 할까요?

1심에서 패소했지만 항소심에서 승소한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 사건에서, 항소심 판결 확정 후 토지가 이미 분할되어 있었음을 알게 된 원고가 판결 경정을 신청한 경우, 해당 신청은 항소심 판결에 대한 경정 신청으로 보아야 하므로 관할 법원은 항소심 법원이다.

#항소심 판결 경정#관할#토지 분할#소송목적물

민사판례

땅 나눴는데 등기부는 안 나눴다면? 등기부 정리 이렇게 하세요!

땅을 나눈 후 옛날 등기부의 주소 정보를 수정했을 때, 그 수정된 등기부가 새로 나뉜 땅의 일부에만 효력이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땅의 일부에 대해서만 주소 정보를 수정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지만,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토지분할#지적경정등기#효력#일부토지

민사판례

땅 지번 정정, 등기 효력은 어디까지? 토지 분할과 등기의 혼란을 정리해봅시다!

토지가 분할된 후, 잘못된 지번을 바로잡는 경정등기를 했더라도, 그 경정등기 이후에 이루어진 소유권이전등기는 원래 토지 전체가 아닌 경정등기로 정정된 토지에만 효력이 있다는 판결입니다.

#토지분할#지적경정등기#소유권이전등기#효력

민사판례

토지 공유물분할 판결, 면적 단수 때문에 등기 못한다면?

법원이 토지 공유물분할 판결에서 면적을 제곱미터(㎡) 미만 단수까지 표시하여 등기 등 후속 절차 진행이 어려운 경우, 단수를 포기하는 당사자의 동의가 있다면 판결 경정(수정)을 통해 단수를 삭제할 수 있다.

#토지 공유물분할#판결 경정#면적 단수 정정#당사자 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