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11.12

일반행정판례

투표함 속 작은 실수들,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까?

2004년 4월 15일,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진군 선거구. 열린우리당 후보와 자유민주연합 후보가 단 9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초접전이 펼쳐졌습니다. 낙선한 열린우리당 후보는 선거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있었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과연 어떤 문제들이 있었고,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까요?

후보자는 어떤 주장을 했을까?

낙선한 후보는 주로 세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첫째, 지역구 투표용지가 비례대표 투표함에서 발견되었다. 둘째, 개표 과정에서 자신의 유효표가 상대 후보에게 잘못 분류되었거나 누락되었다. 셋째, 유·무효표 판정에 오류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선거 결과가 뒤바뀌었다는 것이죠.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을까?

법원은 꼼꼼한 검증 끝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1. 지역구 투표용지가 비례대표 투표함에서 발견된 것 자체는 공직선거법상 당선 무효 사유가 아닙니다.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23조) 당선 무효 소송은 선거관리위원회가 유효투표의 다수를 얻은 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하는 과정의 하자를 다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2. 법원의 검증 결과, 개표 과정에서 유효표가 잘못 분류되거나 누락된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3. 유·무효표 판정에 일부 오류는 있었지만, 최종적으로 유효표를 다시 계산해보니 여전히 자유민주연합 후보가 더 많은 표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79조, 제180조 제2항) 즉, 개표 과정의 작은 실수들이 있었지만, 선거 결과 자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것입니다.

투표용지 교부수와 실제 투표지 수의 차이, 그리고 개표 방식 문제는 어떨까?

낙선 후보는 몇몇 투표구에서 투표용지 교부수와 실제 투표지 수가 1~3장씩 차이가 난다는 점, 그리고 개표 과정에서 투표용지 총수를 먼저 확인하지 않고 바로 후보자별로 분류했다는 점도 문제 삼았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이러한 차이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투표용지 교부수와 투표지 수의 차이가 매우 적었고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23조, 제224조), 개표 방식에도 법적인 문제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77조 제2항, 제178조)

선거관리위원장의 사인(私印) 누락 문제는?

일부 투표용지에 선거관리위원장의 사인이 누락된 것도 지적되었지만, 법원은 이러한 투표용지 역시 정당하게 교부된 것으로 판단하여 유효표로 인정했습니다.

결국, 이 사건은 선거 과정에서 사소한 실수들은 있었지만, 그 실수들이 선거 결과를 뒤집을 정도로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투표용지에 도장 살짝 삐져나왔다고 무효표? 아닙니다!

투표용지에 기표할 때, 기표 도장이 정해진 기표란 안에 완벽히 찍히지 않더라도, 기표된 도장의 외곽선이 특정 후보자의 기호란이나 성명란에만 접촉되어 있다면 유효표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투표용지#기표#기표란#유효표

일반행정판례

정당 내 경선 결과, 함부로 뒤집을 수 없다!

정당이 당헌·당규에 따라 당내경선을 실시하고 비례대표 후보자를 선정한 경우, 그 절차가 매우 불합리하거나 부당하지 않다면 법원은 후보자 선정 및 등록을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당내경선#후보자등록#효력#정당 자율성

일반행정판례

개표 오류? 선거 결과에 영향 줬을까?

선거 과정에서 규정 위반이 있더라도 그 위반이 선거 결과(당선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면 선거 결과는 유효하다.

#선거#절차상 하자#선거 결과 영향#유효

일반행정판례

투표용지에 선관위 도장이 없다면? 유효할까요?

투표용지에 투표구 위원장의 사인이 없더라도 다른 증거들을 통해 정상적으로 발급된 투표용지라고 판단되면 유효합니다. 선거관리위원회 내부 지침은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투표용지#위원장 사인#유효성#선관위 내부지침

일반행정판례

후보자 정보 누락, 선거 결과에 영향 미쳤을까? - 선거무효소송 이야기

당선인의 세금 체납 사실이 후보자 정보에서 누락되었지만, 다른 경로로 알려져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선거 무효 소송이 기각된 사례.

#선거무효소송#후보자정보누락#세금체납#선거결과

일반행정판례

전과기록 누락한 비례대표, 당선 무효될 수 있다!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자가 징역형 전과 기록을 숨기고 정당에 제출하여 당선되었는데, 이는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어 당선 무효 판결을 받았습니다.

#전과기록 누락#비례대표#당선 무효#공직선거법 위반